━
유가 잡았지만 공급망 차질은 우려
최근 13개국에서 델타형(인도) 변이보다 전염력이 센 오미크론(Omicron) 변이가 등장한 29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을 통해 프랑크푸르트, 하바롭스크발 여객기를 이용한 승객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입국하고 있다.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일 정부와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미크론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복합적이다. 대표적인 것이 물가다. 지난달 30일 두바이유는 전날보다 5.38% 내린 배럴당 68.02달러에 거래됐다. 배럴당 80달러에 육박했던 가격 상승세는 일단 멈췄다. 국제 유가는 에너지 수요 늘어나는 북반부 동절기에 더 오를 거란 우려가 있었다. 에너지 가격 상승은 물가 상승, 기업 비용 증가로 이어지면서 최근 경제에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했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등장이 이런 부담을 다소 완화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당장 예단할 수 없지만, 오미크론이 일단 에너지 가격 상승세를 누그러뜨린 것은 맞다”면서 “생각보다 치명적이지 않다고 결론 나면 유가가 예전 수준으로 다시 오를 수는 있다”고 했다.
다만 오미크론 확산이 물가 안정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과열 양상이었던 에너지 가격을 낮추는 효과는 있지만, 공급망 교란 등 부정적 요인을 더 키울 수 있어서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물가 상승의 원인인 수요 증가를 다소 덜어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인이지만, 공급망 차질은 부정적”이라면서 “부정적인 부분이 있어도 백신 개발 등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과거처럼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
수출 피해 제한…비대면엔 긍정
서울 시내에서 배달원들이 오토바이를 이동하고 있다. 중앙포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한국 경제 회복 버팀목이었던 수출도 오미크론 영향이 제한적일 거란 분석이 나온다.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수출 기업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생산 차질로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그동안 기업의 대응 능력이 강화됐기 때문에 코로나19 확산 초창기와 같은 극단적인 생산 차질이 이제 다시 일어나기는 쉽지 않다.
오히려 지난해 코로나19로 특수를 누렸던 비대면 경제에 대한 수요가 더 지속할 수 있어 일부 산업엔 긍정적일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나오면 완전한 대면 경제로 복귀하기보다 비대면과 대면 경제가 뒤섞인 일상으로 갈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럴 경우 반도체·가전같이 한국 기업이 앞서 있는 분야에 대한 수요가 계속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실제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셌던 지난해 10월 비대면 경제 호황으로 하루 평균 한국 수출액이 전년 대비 5.6% 상승하며 9개월 만에 반등했었다.
소비 등 내수도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타격이 심각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했던 지난해 말 소매 판매가 일시적으로 주춤했었다. 하지만 올해 1월(0.0%)·2월(8.3%)·3월(10.9%)부터는 전년 대비 모두 큰 폭 상승세를 보였다. 전자상거래·배달 등 대면 소비가 비대면으로 옮겨 간 영향이다.
━
소상공인 타격…“선별 지원해야”
서울 용산구 이태원의 폐업한 상점에 임대문의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전문가들은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소상공인·자영업자의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대표적 대면 업종인 숙박·음식점은 정부 방역 조치 완화로 지난 9월 전년 대비 생산이 4.5% 반짝 상승했었다. 하지만 오미크론 확산으로 정부가 방역 정책을 다시 죄면 감소로 언제든 돌아설 수 있다. 원래 정부는 방역 조치를 더 완화하는 2단계 적용을 검토하려 했지만, 거센 코로나19 확산세와 오미크론 출현으로 2단계 시행을 당분간 유보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피해는 전체 경제가 아닌 일부 계층에만 집중하는 차별화 양상을 띤다”면서 “오미크론 확산으로 이런 피해가 더 커지고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자영업자 손실 보상 등 보다 실질적인 선별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세종=김남준 기자 kim.namju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