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윤석열 검찰 고발사주 의혹

與 “이재명 거론 말라” vs 野 “비리 저지른 떼도둑들” [분수령 맞은 대장동ㆍ고발사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與 TF “야권 李 후보에 무리하게 배임혐의”

野 백현동 방문·도보 시위 “범죄현장 검증”

여야는 2일 대장동 개발비리 의혹을 놓고 강한 충돌을 이어갔다. 더불어민주당은 검찰 추가 기소 내용을 토대로 야권이 무리하게 이재명 후보 배임 혐의로 몰고간 사실이 드러났다며 역공을 폈고, 국민의힘은 ‘제2의 대장동’으로 불리는 성남시 백현동 현장을 찾아 도보시위를 벌이는 등 공세 수위를 높였다.

먼저 민주당 ‘화천대유 토건비리 진상규명 태스크포스(TF)’는 이날 회의를 열고 전날 서울중앙지검 수사팀이 이 후보에 대한 배임 공범 혐의를 적용하지 않았다는 언론 보도를 인용하며 대대적인 역공에 나섰다.

TF 간사 김병욱 의원은 “기사에 인터뷰한 검찰 관계자는 ‘고정이익 확보라는 정책적 판단을 한 이 후보에 대해서 배임 혐의 적용이 어렵다’고 말했다”며 “국민의힘은 화천대유 토건비리 게이트에 이 후보를 다시는 거론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의원은 또 성남시장은 대장동 개발과 관련해 ‘이사회 의결 승인권’, ‘다른법인 출자 승인’만 최종 결재만 하도록 돼있다는 성남도시개발공사 보고서를 언급하며 “공모지침서, 사업협약서, 주주협약서 등이 모두 성남시장의 손을 거쳤다고 말한 부분, 초과이익 미환수와 관련해 성남시장이 관여했다는 분들의 거짓말이 명명백백히 드러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키맨’으로 꼽히는 정영학 회계사가 구속영장 청구 명단에 빠진 점, ‘50억 클럽’으로 지목된 곽상도 의원과 박영수 특검에 대한 소환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 등을 지적하며 “돈 준 인물, 받은 인물에 대한 신속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1년 부산저축은행 대출 비리사건을 고리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향한 공세도 이어갔다.

소병철 의원은 당시 감사원의 감사결과 보고서를 입수했다며 “윤석열씨가 주임검사였던 부산저축은행비리사건이 이번 토건비리의 뿌리란 것이 드러나고 있다”고 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성남시 백현동을 ‘제2의 대장동’으로 규정하고 백현동 현장 방문과 도보 시위 등을 벌이며 화력을 집중했다. 국민의힘 ‘이재명 비리 국민검증특별위원회’는 이날 오전 백현동에서 긴급 현장회의를 열고 이 후보가 성남시장 재직 당시, 백현동 부지에 용도변경 4단계 상향 특혜를 줬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김진태 이재명비리검증특위 위원장은 “범죄현장 검증에 왔다”며 “지금부터 과연 이 50m의 살인적인 옹벽이 과연 허가가 가능했는지 실체가 어땠는지 두 눈으로 확인(하려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대권주자 원희룡 전 제주지사도 대장동에서 청와대까지 40여㎞에 달하는 도보 행진에 나서며 민주당과 이 후보를 향해 특검 수용을 촉구했다.

원 전 지사는 이날 오전 7시께 대장동 수의계약 필지에 해당하는 아파트 앞에서 도보 행진을 시작하며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과 지금 문재인 정부는 잘못을 인정하고 바로잡기는커녕 단군 이래 최대의 공익 환수 사업이라고 거짓말할 뿐 아니라 ‘국민의힘 게이트’라고 적반하장”이라며 “비리를 저지른 떼도둑들을 대장동의 거대한 무덤 속에 파묻어버리고 상식과 정의가 다시 살아나는 정상적인 대한민국으로 만들기 위해 뜻을 모아달라”고 말했다. 배두헌·신혜원 기자

badhone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