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김포공항, 인천으로 통합이전 요구 다시 '고개'…현실성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컷뉴스

서울시의회·인천시의회 의원들과 지역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인천·김포공항통합 수도권추진단'이 28일 서울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출범식을 갖고 여·야 대선후보 공약에 공항 통합 반영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민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의회·인천시의회 의원들과 지역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인천·김포공항통합 수도권추진단'이 28일 서울시의회 브리핑룸에서 출범식을 갖고 여·야 대선후보 공약에 공항 통합 반영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김민수 기자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수면 위에 올랐던 김포공항의 인천공항 통합이전 요구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서울시의회 우영찬 의원과 인천시의회 김종인·박정숙 의원, 지역 시민단체들은 28일 오후 서울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포공항을 인천공항으로 통합이전하는 '인천·김포공항통합 수도권추진단' 출범식을 갖고 인천·김포공항 통합을 2022년 대선 여·야 후보 공약에 반영할 것을 촉구했다.

추진단은 김포공항이 수십 년간 수도권 시민들의 항공 편익을 담당했지만 서울 서부권, 김포, 부천 등에 거주하는 45만 명의 시민들이 소음피해와 고도제한 등의 이유로 환경권, 건강권, 재산권을 침해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포공항은 2001년 인천공항 개항에 따라 국내선만 운영하기로 했지만 2003년부터 일본 도쿄를 비롯해 중국, 대만 등 5개 국제노선을 운영 중에 있어 항공편 증편에 따른 소음과 고도제한 피해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인천공항 건설로 조성된 인천 영종국제도시는 수도권 신도시와 항공·관광복합도시 발전 계획에 따라 유치 계획이었던 항공산업과 레저산업, 교통·생활인프라 구축이 정치권의 무관심 속에 요원해지고 있다며, 제1·2차 국가철도망종합계획에 포함됐던 제2공항철도 무산을 예로 들었다.

김포공항 이전 논의는 지난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박용진 후보가 내세웠던 주장이다. 김포공항 이전을 통해 대규모 택지를 개발하고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는 스마트시티 구상을 제시한 바 있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장인 우영찬 의원(서울 양천구)과 인천지역 시의원들도 적극 동참했다.

박 후보는 김포공항 면적이 여의도의 10배인 900만 평으로 20만 가구를 수용할 수 있다며, 서남권 대규모 공공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천지역 입장에서는 국내선과 근거리 국제선을 가진 김포공항을 흡수해 물류‧관광레저‧연구개발 등을 망라한 공항경제권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해가 맞아 떨어진 주장이었다.

이낙연 후보는 오히려 성남 서울공항을 김포공항으로 이전해 서울공항 부지에 7만호의 판교·위례급 신도시를 짓자는 입장을 내세웠다.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2022년 대선 공약에 인천·김포공항 통합을 반영하라고 요구했지만 뚜렷한 이전 청사진은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추진단 측은 "앞서 대선후보들이 관련 공약을 낸 부분이 있고, 서울 서부권과 수도권 지역의 통합 측면에서 논의를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6월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김포공항을 도심항공교통 핵심 시설로 변환하고 대규모 복합시설을 짓는 김포공항 복합개발 세부 계획안을 발표했다.

2023년 상반기 첫 삽을 뜨는 복합개발 사업은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앞 주차장 부지를 전면 지하화해 연면적 100만㎡ 규모의 초대형 복합시설(지하 5층~지상 5층)을 짓고, 부천 대장, 인천 계양 등 3기 신도시를 잇는 광역급행버스(S-BRT)와 서부권 시외버스 환승장을 마련하는 한편, 건물 최상층에 드론택시 등 UAM(도심항공교통) 이착륙 승강장을 조성한다는 내용이다. 부지는 국내선 앞 주차장부터 메이필드 호텔 앞 주유소까지 한국공항공사가 소유한 부지 총 43만㎡ 규모다.

서울시는 국제회의 유치가 가능한 컨벤션 시설과 혁신기업 R&D 시설, 공항 지원시설, 상업시설, 생활SOC 시설을 함께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