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2021 국감]'화천대유 늑장 수사' 논란…서울경찰청장 "수사 초기 아쉬운 점 있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정윤 기자] 경기도 성남시 대장동 지구 개발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자산관리회사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에 대한 경찰의 '늑장 수사' 논란이 서울경찰청 국정감사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19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이날 오후 8시께 서울 종로구 내자동 서울청사에서 서울청에 대한 국정감사에 돌입했다.

최관호 서울청장은 양기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정보분석원(FIU)에서 용산경찰서에 수상한 자금 흐름을 통보했는데 5개월 동안 방치했다는 지적을 하자 "대장동 수사 초기에 아쉬운 점 있다고 생각한다"라면서 "보고가 조치로 연계돼야 하기 때문에 왜곡되지 않고 사실 그대로 보고되도록 신경쓰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날 이영 국민의힘 의원은 이성문 전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 대표에게 지난 4월 20일 출석 요구를 하고 5월 25일에야 소환조사가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이에 최 청장은 "출석 날짜를 서로 조율해서 출석하기 때문에 날짜가 그렇게 됐다"고 했다.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에 대한 소환조사가 수사 개시 후 4개월여가 지난 시점이라는 것에 대해서 최 청장은 "(FIU가 제출한) 자료가 방대했다"라면서 "소명자료가 수백페이지이고 그것도 4차에 걸쳐 자료를 냈다"고 답했다.

이어 "계좌 자료 분석과 소명자료 맞추는 작업을 수사관이 다른 수사를 하면서 진행한 것 같다"라면서 "국민적 관심도가 커져 용산서 경제팀 담당 수사관 1명이 수사하던 것을 용산서 지능팀으로 옮겨 처리하도록 했고 시도경찰청에서는 전문인력도 투입했다"고도 했다.

아울러 "FIU 자료에 대한 인식이 그동안 취약한 것 같다"라면서 "FIU에서 자료가 오면 배당 단계부터 중요도를 평가해 중요 사항은 시도경찰청에서 직접 수사하고 그보다 약한 부분은 경찰서에서 하더라도 집중 지휘사건으로 해시 인식을 높여나가도록 하겠다"고 했다.

경찰은 지난 4월 FIU로부터 화천대유의 수상한 자금 흐름 관련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용산서에 배당했다. 용산서는 입건 전 조사(내사)에 착수했지만 정식 수사 전환 등은 이뤄지지 않았다. 지난달부터 관련 논란이 확산되자 경찰은 사건을 모두 경기남부경찰청에 배당하고 전담수사팀을 구성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