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점주, 배달비 때문에 마진 낮아
소비자들 “배보다 배꼽 큰 배달비”
라이더 부족, 배달비 고공행진 지속
배달대행업체 '부릉'의 라이더가 배달을 하는 모습. 사진=메쉬코리아 공식 홈페이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한희라 기자] “매장 장사가 줄어서 전보다 더 배달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 배달비가 얼마전에 또 인상됐어요. 손품이 많이 드는 메뉴와 단가 낮은 메뉴에 결국 배달비를 녹였어요.”
서울 양천구에서 홀영업과 배달을 같이하는 중국음식점의 A사장. 그는 돼지고기, 기름값 등 식재료 가격이 계속 오르는데 배달비까지 오르자 홀 주문과 배달 주문에 다른 가격을 적용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배달대행 플랫폼을 통해 주문할 경우 일부 메뉴는 500원~1500원 가량 더 비싸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외식보다 배달’이 일상이 된 요즘, 배달비 이슈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업주들은 배달비가 계속 올라 마진이 줄었다고 아우성이다. 소비자는 소비자대로 슬금슬금 배달팁이 오르며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고 불만이다. 배달로 인한 편리함은 커졌지만, 배달기사(라이더) 부족과 배달비 급등의 악순환이 되풀이되면서 누구도 승자가 될 수 없다는 경고가 나온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계속 오르는 배달비...음식점주들 “밑지는 장사” 울상
지난 추석, 연휴 할증이 붙으며 일부 지역의 배달비가 자장면 한그릇 가격인 7000원까지 올라 원성을 산 적이 있다. 소비자들은 음식점들이 배달비를 너무 올린다고 불만이지만, 업주들은 다른 이유가 있다고 말한다.
라이더가 얻는 수입인 배달비는 음식을 주문한 소비자가 부담하는 배달팁과 음식점주가 부담하는 배달료로 구성된다.
보통 배달앱 주문시 배달비는 수도권의 경우 1.5㎞ 이내는 3000~3500원 정도다. 거리가 늘면 500m당 500원의 추가 할증을 받고, 심야‧우천‧폭염시 500~1000원이 추가된다. 배달팁을 얼마로 할지는 업주가 주문금액이나 거리, 경영 환경 등에 따라 직접 결정한다.
예컨대 치킨 한 마리를 배달앱으로 주문할 때 배달비가 3500원이라면, 소비자가 지불하는 배달팁을 1000원으로 할지 2000원으로 할지는 음식점주가 정하는 식이다.
단건 배달을 하는 쿠팡이츠와 배민1은 배달비가 5000원으로 더 비싸다. 업주는 여기에 더해 배달 플랫폼 업체와 맺은 수수료(12~15%)도 내야한다.
2만원짜리 음식을 단건 배달로 팔 경우 수수료 1000원, 배달비 5000원으로 기본 6000원을 깎고 들어간다는 얘기다. 소비자가 내는 배달팁도 당연히 올라간다. 뿐만 아니라 배달비는 소비자 가격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한 음식점주는 “비가 와서 할증까지 내야할 때는 차라리 택시에 실어 보내는 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면서 “손님들이 음식 가격은 그러려니 하지만, 배달팁에는 민감해서 이중가격을 책정하거나, 최소 주문금액을 조정하기도 한다. 단건 판매를 하지 않고 세트구성만 배달앱에 올리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배달수요 증가, 단건 배달에 라이더 부족 심각
갈수록 비싸지는 배달비는 라이더 부족이 가장 큰 이유다. 기존에는 음식 배달만 있었다면, 최근에는 화장품, 생필품, 음료 등으로 배달 범위가 넓어지며 라이더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이런 가운데 쿠팡이츠의 단건배달이 배달비 상승에 기름을 부었다. 동시에 배정된 4건의 주문을 처리하기 위해 다건배송의 경우 라이더가 1명이면 되지만, 단건배달은 라이더 4명이 필요하다. 이는 다시 배달비 상승으로 이어진다.
쿠팡이츠는 새벽배달까지 시장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쿠팡이츠는 건당 배달비를 최대 2배로 올리고 새벽배달을 하는 ‘얼리버드’ 라이더 모집 공고를 냈다. 배달앱 1위사와 2위사인 배민과 요기요는 아직 새벽배달 계획을 밝히지 않았지만, 라이더 확보전은 더 치열해질 수 밖에 없다.
배달대행업체 관계자는 “배달비 증가는 배달수요 급증과 라이더 부족이라는 시장구조 탓”이라면서 “배달앱이나 배달대행업체도 적자가 커지고 있다. 누가 승자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hanira@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