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서울 주택 갭투자 비중 4년 새 3배↑…대책 직후에만 일시 하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를 끼고 부동산을 매수하는 이른바 '갭투자'가 정부의 대책에도 불구하고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훈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서울시 주택 자금조달계획서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갭투자 비율은 2017년 9월 14.3%에서 2021년 7월 41.9%로 약 4년 만에 3배 가까이 뛰었습니다.

특히 올해 5월에는 43.7%까지 치솟기도 했습니다.

최근 서울 지역의 갭투자 비율은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대책 발표 직후에는 일시적으로 뚝 떨어지는 흐름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2017년 '8·2대책' 발표 직후인 9월 서울의 갭투자 비율은 14.3%에 그쳤고, 2018년 9월 30.9%였던 갭투자 비중은 '9·13대책' 여파로 10월에 19.9%로 떨어졌습니다.

또 2019년 '12·16대책' 발표 직전인 11월 32.4%였던 서울 갭투자 비율은 발표 이후인 이듬해 1월 25.3%로 꺾였습니다.

지난해에는 '6·17대책' 영향으로 6월 31.6%에서 7월 25.8%로 떨어졌고, 올해는 '2·4공급대책' 여파로 2월 40.3%에서 3월 31.0%로 내려왔습니다.

국민의힘 소속인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가 임기 시작과 동시에 5년간 갭투자를 잡겠다고 나섰지만, 갭투자 비율은 대책이 나오고 시일이 지나면 다시 반등했다"며 "실수요와 투기를 동일시하면서 규제를 가해 서민층의 내 집 마련까지 어렵게 해 고통을 배가시켰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신승이 기자(seungyee@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