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이슈 폭염에 전력 부족 위기

중국 전력난, 한화솔루션·LS일렉·팬오션 등 수혜 기대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머니투데이

(바오터우 로이터=뉴스1) 금준혁 기자 = 중국이 석탄 부족으로 심각한 전력난을 겪고 있다. 사진은 중국 내몽골 바오터우시의 한 공장 뒤편에 석탄발전소의 모습. (C) 로이터=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전력난으로 국내 화학업종 대표주인 한화솔루션과 해운업종의 팬오션, 배전설비 부문의 LS ELECTRIC(LS일렉트릭) 등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한금융투자는 1일 '중국 전력공급난 영향 분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화학 △건설 △운송(해운) △조선 △기계 △철강 및 비철금속 등 6개 국내 중화학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화학·해운·조선·기계 등 수혜, 건설은 중립, 철강은 우려

화학업종에서는 한화솔루션이 중국 생산부진 등의 반사이익을 볼 것으로 전망됐다. 운송업종에서는 팬오션의 주가가 벌크업황 지표인 BDI(발틱해운업지수) 상승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어서 주가 추가상승이 전망됐다.

조선업종 역시 LNG(액화천연가스) 수요 증가로 인한 신조 발주 기대감이 커질 업종으로 평가됐다. 또 기계업종에서는 전력 저장장치인 ESS와 배전반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에 주로 설치되는 저압 변압기를 만드는 LS일렉트릭의 수혜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화학업종에서는 중국 석유화학 산업단지인 지앙수, 샨시, 닝시야, 신장 등 공장에서 화학공장들의 가동률 하향, 셧다운(정기보수) 등이 확인됐다. 또 석탄가격 급등으로 석탄기반 화학설비들에서는 생산감축도 발생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중국이 글로벌 PVC 생산의 42%를 차지하는 1위 생산국으로 생산설비의 80%가 석탄 기반"이라며 "중국 PVC 가동률이 76%까지 하락했고 이는 부산물인 가성소다(글로벌 생산의 44%) 생산량 감소로 이어졌다"고 했다. 이를 통해 한화솔루션 수혜가 예상된다는 게 신한금융투자의 설명이다.

머니투데이

Vale사(社)와 철광석 장기운송계약을 수행 중인 팬오션의 'SEA FUJIYAMA'호/사진=팬오션 /사진=팬오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운업종에서는 중국내 자국 석탄생산 감축, 호주산 석탄공급 감소로 인한 석탄 수입물량 증가 등으로 벌크선 업황이 성수기를 맞을 것으로 기대됐다. 3분기가 계절적으로 성수기인 데 중국발 이슈까지 더해 수혜폭이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조선업종 역시 LNG 평균 가격이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각각 15.3%, 14% 상승하는 등 영향으로 신규 LNG 액화플랜트 투자심의 환경이 우호적으로 변모하고 있다고 평가됐다.

신규 LNG 운반선 발주 여건이 조성돼 가고 있어 국내 조선업체의 수혜가 예상된다는 것이다. 기계 업종 역시 화석연료 기반에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에서 LS일렉트릭 등의 전력기계 업종의 주력제품이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철강 및 비철금속 업종은 중국발 공급감소로 인한 수혜보다는 수요 부진에 따른 우려가 더 클 업종이라는 점에서 부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건설 업종은 유의미한 충격이나 수혜가 기대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중국 당국발 전력난, 여파는 장기화 안될 것

중국 전력난이 발생한 이유는 중국 당국의 의도적 개입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신한금융투자는 "중국 정부가 2018년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대기질 개선을 위해 대기오염 통제 3개년 행동 계획을 발표했다"며 "2021~25년 기간에 GDP(국내총생산) 단위당 탄소배출을 18%, 에너지 소비를 13.5% 줄이는 계획을 세웠다"고 했다.

머니투데이

서울 중구 장교동 한화그룹 본사 전경 / 사진=이동훈기자 /사진=이동훈 기자 photoguy@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올 3월 시진핑 주석이 주재한 중앙재경위원회에서 중국 저탄소화를 위한 산업구조 전환을 가속화할 방침으로 중점 산업 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 삭감이 결정됐고 이로 인해 중국내 석탄 생산 및 석탄화력을 통한 발전 감소가 나타났다"고 했다.

대기질 개선 및 탄소중립 행보를 가속화하기 위한 중국 당국의 결단이 중국내 전력난 뿐 아니라 중국내 주요 산업 생산에 영향을 미쳐 글로벌 시장에까지 충격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이같은 당국발 인위적 제한조치로 인한 전력난은 장기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백은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달 29일 내놓은 보고서를 통해 "전력난의 진짜 배경은 탄소중립으로 중국 정부가 2030년까지 탄소배출 피크(정점)을 달성하기 위해 각 성별 에너지 소모강도와 소비량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했다"며 "그러나 수출 호황과 생산 확장으로 1분기 대비 상반기 성적이 더 악화됐고 목표 달성을 위해 칭하이, 닝샤, 지앙수 등 일부 지방정부가 8월 들어 급하게 에너지 고소비군 전력 사용 제한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했다.

백 연구원은 "제조업 강제 가동 중단이 지속된다면 중국의 경제 성장률은 둔화가 불가피하지만 지속 기한은 올해를 넘기지 않을 것"이라며 "중국 정부가 민생 보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 생산 중단에 따른 각종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중앙 정부의 개입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민생 경제 등을 이유로 중국이 에너지원 규제를 다소 완화할 것이라는 분석은 또 있다. 홍록기 키움증권 연구원은 "친환경 정책 기조 아래 동절기 친환경 정책 강도가 높아지는 계절성,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고려할 때 생산 제한 조치가 계속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에너지 소비 총량 규제로 기업 생산능력도 일정 수준 낮아졌다"고 했다.

다만 그는 "동절기에 석탄 및 에너지 수요가 더 늘어나기 때문에 에너지 산업 정책에 일부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최근의 빠듯한 전력수급 상황이 다소나마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했다.

머니투데이

LS ELECTRIC이 구축한 국내 최대 94MW급 영암태양광발전소 전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국상 기자 gshwa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