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인간문화재 인정…영화 '왕의 남자'서 감우성이 연기 표본으로 삼기도
강준섭 진도다시래기 보유자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전남 진도에서 태어나 평생 팔도 곳곳을 떠돌며 공연한 '이 시대 마지막 유랑 광대' 강준섭 국가무형문화재 진도다시래기 보유자가 24일 오후 7시께 별세했다고 25일 문화재청이 전했다. 향년 88세.
고인은 1933년 무당 일을 하던 집안에서 4남 1녀 중 넷째 아들로 출생해 자연스럽게 예인(藝人)이 될 환경에서 자랐다.
국가무형유산원이 발간한 구술 자서전에 따르면 고인의 윗대 어른은 대대로 음악 활동을 했고, 진도씻김굿 명인이었던 고(故) 박병천 집안을 비롯해 진도의 이름난 예인 집단과 교류했다.
같은 마을에 살던 판소리 명창 신치선에게 소리를 처음 배웠고, 14세에 여성 창극단에 입단해 이곳저곳을 유랑하며 공연했다. 청년 시절에 잠시 군대에서 복무한 것을 제외하면 1970년대까지 계속 유랑극단 활동을 했다.
고인은 1975년 진도 지방에서 천수를 누리고 행복하게 살던 사람이 세상을 떠났을 때 동네 상여꾼들이 유족을 위로하고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행한 진도다시래기 복원 활동에 참여했고, 1979년에는 국립극장에서 진도다시래기 공연을 했다.
진도다시래기는 무속단체인 신청(神廳)을 중심으로 조직된 전문 예인들이 전승했으며, 상례 풍속과 민속극 연구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는다.
진도다시래기가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자 고인은 고 조담환과 함께 탁월한 기량을 인정받아 이 종목 보유자, 즉 인간문화재가 됐다.
이후에도 진도다시래기 전승과 보급에 힘써 진도 '군민의 날' 기념 표창장을 받았고, 세한대 전통연희학과 초빙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2009년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가 있는 신안 하의도에서 영결식 전날 해학과 웃음이 넘치는 굿판을 벌였다.
고인은 전통 연희 무대에서도 널리 알려진 인물이었다. 심청전, 춘향전, 장화홍련전 등 고전 판소리부터 신파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무대에 섰다. 특히 앞을 보지 못하는 심 봉사 역할은 압권으로 꼽혔다.
영화 '왕의 남자'에서 장생으로 등장한 감우성이 맹인 연기의 표본으로 삼은 것으로도 알려졌다.
고인은 구술 자서전에서 "4대 명작극에 모르는 것이 없어. 구녁구녁마다 모르는 역이 없고, 모르는 것이 없어. 그란께 내가 잘 팔려 댕겨. 이 단체 저 단체, 심 봉사를 한께 그분 좀 보내주라고 연락 오지"라고 했다.
또 "대한민국 명창들이 장님 역을 다 해. 하는데 내 더늠(판소리 창자가 새롭게 짜 넣은 소리 혹은 월등히 잘하는 소리)을 못 따. 가망도 없제. 이 장님 역은 더늠으로 먹어. 더늠 없이 하믄 하는 것이 아니여"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유족으로는 유랑극단에서 함께 활동한 부인 김애선 진도다시래기 명예 보유자와 진도다시래기 전승 교육사인 아들 민수 씨, 딸 계순·계옥 씨가 있다.
빈소는 전남 진도 산림조합추모관. 발인 27일 오전 10시. ☎ 061-543-4040
강준섭 진도다시래기 보유자 |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