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2 (화)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우기에도 벌목…미얀마, 軍 쿠데타로 벌목·목재 밀매 '호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미얀마 삼림에서 벌목돼 운반되고 있는 목재의 모습./사진=EIA 페이스북 캡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정리나 하노이 특파원 =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켜 민선정부를 전복한 미얀마에서 불법 벌목과 목재 밀매가 때 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다. 쿠데타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정국의 혼란이 가중된데다 재정적으로 허덕이는 군부가 중국으로의 목재 밀매를 묵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18일 현지매체 이라와디는 이같은 내용과 함께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가 목재 밀매업자들에게는 ‘청신호’라고 보도했다. 미얀마에서는 일반적으로 우기에는 목재 벌목이 중단된다. 목재 밀매업자들도 우기에 맞춰 5월 중순부터 10월 초까지 활동을 중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미얀마 북부 사가잉주 등지에서는 연일 목재를 가득 실은 트럭들이 이동하는 모습이 목격됐다.

지역 환경단체에서 일하는 익명의 관계자는 매체에 “매일 마을 인근에서 목재를 실은 트럭 15~20대가 이동하는 것을 본다”며 해당 목재들이 미얀마 샨주나 카친주를 거쳐 중국 윈난성에 가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 2월 군부 쿠데타 이후 불법 벌목은 통제가 불가능한 상태”라고 전했다. 인근 지역 환경단체 관계자들도 쿠데타와 코로나19로 인한 혼란 속에서 불법 벌목이 만연했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지난 3~5월 매일 최소 40~50대의 트럭이 목재를 싣고 중국으로 향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이마저도 “정치적인 여건때문에 크게 지적할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이 환경단체 활동가들의 전언이다.

티크를 비롯, 미얀마에서 나는 각종 목재는 중국의 큰 관심사다. 중국의 높은 수요로 미얀마 곳곳에서는 대규모의 불법 벌목이 자행되기도 한다. 이렇게 벌목된 목재들은 또 밀매로 이어진다. 현행 미얀마법에 따르면 목재는 육로 무역이 금지돼 있어 모든 목재 수출은 양곤 항구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미얀마~중국 육로 국경지대에서는 목재 밀매가 공공연하게 이루어진다.

미얀마의 목재 수출은 정부의 주요한 수입원이었지만 산림 파괴에 대한 우려도 낳았다. 국제환경단체에 따르면 미얀마에서는 2001년~2020년 사이 스위스 크기의 산림이 사라졌다.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 정부는 출범 이후 불법 벌목과 밀매를 금지하며 산림 보호에 나섰지만, 지난 2월 쿠데타를 일으킨 군부가 정권을 잡으며 다시 물거품으로 돌아갔다.

쿠데타로 인한 서구의 무역 제재와 재정난이 겹치자 군부는 중국과의 유대를 강화하며 불법 벌목과 목재 밀매를 통해 재원 마련에 나서는 모양새다. 지난 5~6월 군부는 수치 고문의 문민정부가 압수한 20만톤의 불법 벌목 목재 일부를 경매로 내놨다. 환경단체 관계자들은 “쿠데타 이후 불법 벌목이 압도적으로 증가했다”며 “관리들이 뇌물을 받고 이를 묵인하거나, 군부가 직접 관여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 환경단체 환경조사국(EIA)은 미얀마 군부가 대 중국 목재 무역을 통해 재정적인 이익을 얻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가잉·샨·카친주 등 곳곳에서 불법 벌목과 목재 밀매가 급증하고 있지만 환경단체 활동가들과 산림감시인들도 군부를 피해 은신하거나 시민불복종운동(CDM)에 참여하고 있어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투명성과 책임성 네트워크 카친(TANKS)의 현장 책임자는 “쿠데타로 인해 환경 감시 활동이 이제 도전과 위험에 직면했다”며 “천연자원의 파괴가 통제 불능 상태에 이를까 우려된다. 현재 상황이 지속된다면 카친주의 보호삼림을 잃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