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취업자 중 자영업자 비중 역대 최저···“3분기 이후 고용 불확실성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국내 전체 취업자에서 자영업자 비중이 20% 수준까지 떨어지며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숙박·음식업 등 대면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자영업의 고용 여건이 더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5일 통계청 고용동향 등을 보면 지난 6월 자영업자는 558만명으로 전체 취업자(2763만7000명)의 20.2%에 그쳤다. 이는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1982년 7월 이후 39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 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28만명(전체 취업자의 4.6%),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30만명(15.6%)이다.

자영업 비중은 올 상반기 전체적인 고용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정체돼있다. 전체 취업자 수는 지난해 코로나19가 국내에서 본격 확산한 3월(전년 동월 대비 -19만5000명) 이후 올 1월(-98만2000명)까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3월(31만4000명)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반면 자영업자는 지난해 3월 이후 계속 감소하다 지난 6월에야 증가세로 전환됐다. 이마저도 전체 취업자는 2.2% 증가한 반면 자영업자는 0.5%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6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수는 8만3000명 줄어 31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부의 방역조치가 강화되고 외부활동이 줄면서 숙박·음식업, 도·소매업 등 대면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피해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대면 업종의 고용 상황이 더 나빠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날 ‘최근 고용 흐름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가 강화된 3분기 이후 고용시장의 불확실성이 다시 커질 것”이라며 “숙박·음식업, 도·소매업, 교육서비스업 등 어려움이 큰 업종에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기간을 연장하고, 영세자영업자들이 일자리를 지키도록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데 정책의 주안점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경향신문 프리미엄 유료 콘텐츠가 한 달간 무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