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6 (토)

이슈 물가와 GDP

한은 "물가상승 압력 더 커질 수도"…금리인상 깜빡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유효송 기자]
머니투데이

지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주유소에서 휘발유를 1900원 대에 판매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 경제가 코로나19(COVID-19) 회복 과정에서 인플레이션(지속적 물가상승) 압력에 빠질 수 있다는 한국은행의 경고가 나왔다. 백신 접종과 함께 억눌렸던 수요가 살아나는데다 원자재 가격 상승 압력까지 더해졌다는 논리다. 8월 이후 금리인상을 위한 사전 포석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19일 발표한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점검' 보고서에서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수요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해상운임 급등 등 공급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 압력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올해 초 미국에서 코로나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한 대규모 유동성 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논쟁을 계기로 이번 연구에 착수했다. 미국에서는 대규모 재정 지원 정책이 시중 유동성 확대를 불러오고 결국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은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b)의 통화정책에 대한 신뢰성을 고려하면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의 물가목표 이탈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봤다.

한은은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크게 증가한 통화량이 향후 인플레이션 우려를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봤다. 한은 관계자는 "위기 대응 과정에서 늘어난 유동성이 적절한 시점에 회수되지 못할 경우 경기회복 과정에서 펜트업 수요(보복소비) 확대 등과 맞물리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한은이 금리인상의 요건으로 삼는 자산과열과 같은 금융불균형 상황뿐 아니라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해 금리 정상화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러나 한은 정부의 확장재정 등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촉발될 가능성은 낮게 봤다. 33조원에 달하는 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물가를 크게 자극하지 않을 것이란 의미다. 한은이 금융위기 이후부터 코로나 위기 직전까지 기간을 분석한 결과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은 아직 물가에 대한 통화정책의 유효성이 재정정책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수요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확대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간 상충관계를 보여 주는 필립스곡선의 수요측 요인의 기울기는 코로나 위기 이전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 원자재가격 상승 지속 등이 동반될 경우 일시적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어 우리 경제 역시 여건 변화에 따라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또 공급 측면에서도 인플레이션의 상방 압력이 강해지고 있다. 한은은 원자재가격 추세가 10% 상승할 경우 소비자물가는 최대 0.2%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을 근거로 제시했다. 올해 들어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는데 수입물가 상승을 통해 소비자물가에 전가되면서 인플레이션의 상방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달 중 수입물가지수는 광산품과 석탄 및 석유제품, 1차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해 14.0%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향후 유동성 및 기대인플레이션 측면에서의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경기회복세를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유동성의 과도한 확대를 방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