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임신한 남성’ 이모티콘 등장…“두 눈 의심”vs“다양성” 갑론을박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이모티콘 최종 후보에 오른 ‘임신한 남자’ - 이모지피디아 사이트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와 애플 운영체제 iOS 등에 새롭게 사용될 이모티콘 최종 후보에 ‘임신한 남성’ 이미지가 포함된 것을 두고 찬반 논쟁이 일고 있다.

18일(현지시간) 가디언,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이모티콘 공유 사이트 ‘이모지미디어’는 최근 ‘이모지 버전 14.0’ 새 이모티콘 최종 후보를 공개했다.

이모지 버전 14.0은 유니코드 컨소시엄이 내년 공개하는 ‘유니코드 버전 14.0’에 포함될 이모티콘이다. 유니코드 컨소시엄은 이모티콘 등 컴퓨터상의 통일된 문자 코드를 개발·관리하는 비영리 단체다. 이들은 일정 주기에 따라 유니코드를 공개한다.

이날 공개된 이모티콘에는 배가 불룩 나온 남성이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콧수염이 있고 빨간 옷을 입은 이는 ‘Pregnant Man(임신한 남성)’, 초록색 옷을 입은 이는 ‘Pregnant Person(임신한 사람)’이란 이름이 붙었다.

이모지피디아는 “트랜스젠더 남성도 임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제작됐다”면서 “성별의 다양성, 중립성을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신문

이모티콘 최종 후보에 오른 ‘임신한 사람’ - 이모지피디아 사이트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 두고 해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두 눈을 의심했다” “임신은 여성만 하는 거다” 등의 비난이 쏟아진 반면, “싫으면 쓰지 마라” “다양성을 존중해줘서 좋다” “세상이 한 발짝 나아간 것”이라며 지지하는 의견도 있었다.

한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일명 ‘손가락 하트’도 이번 최종 후보 이모티콘에 포함됐다. 컨소시엄 측은 이 이모티콘에 대해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교차한 것”이라고 소개하면서 “K팝 팬들이 사용하거나 ‘돈’을 표현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기존의 ‘왕자’, ‘공주’가 아닌 한눈에 성별을 인식하기 어려운 ‘왕관을 쓴 사람’ 이모티콘이 최종 후보에 올랐다. 이에 대해 이모지피디아는 “기존 공주와 왕자 이모지의 모든 성별을 포함하는 대안”이라며 “거의 모든 이모지는 기본적으로 성 중립적인 선택지를 가질 것이다”며 “예외적인 경우에 대해서는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서로 다른 피부색이 악수를 나누는 15가지 이모티콘과 산호초, 강낭콩, 미끄럼틀 등의 이모티콘도 있었다. 특히 산호초 이모티콘에 대해 이모지피디아는 “지구 온난화가 산호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기후 변화를 논의하는 아이콘으로 흔히 사용된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이번 공개된 최종 후보는 오는 9월 최종 승인된다. 승인된 이모티콘은 내년 초부터 유니코드에 포함될 예정이다.
서울신문

- 이모지피디아 사이트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