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DMZ 평화·안전 터전으로'…경기도, 5년간 1천700억원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환경생태 보전·관광 활성화 등 34개 과제 발전종합계획 추진

(의정부=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경기도는 전쟁과 갈등의 상흔이 남아있는 비무장지대(DMZ)를 평화와 안전의 터전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경기도 DMZ 일원 발전종합계획(2021∼2025)'을 수립했다고 16일 밝혔다.

연합뉴스

경기도청사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번 종합계획은 '경기도 DMZ 보전 및 활성화 지원 조례'에 따라 DMZ에 대한 미래 비전을 바탕으로 경기도의 향후 5년간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자 마련됐다.

경기도는 발전종합계획에 5대 추진전략, 34개 과제를 담았다.

총 예산은 1천700억원이다. 올해 210억원, 내년 630억원, 2023년 350억원, 2024년 270억원, 2025년 240억원을 투입한다.

경기도는 DMZ를 인간과 자연이 평화·생태 공동체로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만들 방침이다.

첫 번째 전략은 'DMZ 환경·생태 보전과 가치향상'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785억원을 투자해 9개 과제를 추진한다.

DMZ의 환경·생태적 가치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지정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을 진행하고 생태교육 및 생태관광 프로그램 운영, DMZ 환경예술 관련 사업 등도 할 예정이다.

두 번째는 'DMZ 평화적 활용을 위한 인프라 조성 및 지속가능한 발전 관리'로 5년간 529억원을 들여 8개 과제를 추진한다.

DMZ 일원에 관광 거점마을 육성 등 문화·예술 콘텐츠 기반을 조성하고,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도보길(자전거길)을 만들 방침이다.

연합뉴스

임진강 초평도 항공사진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경기도의 평화누리길과 중앙정부의 'DMZ 평화의 길'을 연계하고 구간별 거점센터 구축 등 편의시설을 만들어 접경지역 관광 활성화를 꾀한다.

세 번째 전략은 DMZ 평화공원 조성 등 4개 과제에 3억원을 투입하는 'DMZ 남북 평화 협력 노력'이다.

남북관계 국면 전환에 대비해 공동현안인 일제 강제 동원 피해 관련 추모시설 건립 및 추모행사를 추진하고, 옥류관 등 공동편의시설 운영으로 교류협력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방침이다.

DMZ 평화공원 조성으로 국제평화지대화와 항구적 평화공존의 디딤돌을 만든다는 구상이다.

네 번째 전략은 'DMZ 가치 차별화 강화'다. 이를 위해 100억원을 투입해 3개 과제를 추진하게 된다.

민통선 내 미군 반환 공여지인 캠프 그리브스 등 DMZ 일원 관광지와 연계한 거점시설 육성과 평화생태공원을 만드는 데 주력하고, '지뢰 제거 국제협력사업'을 추진해 DMZ의 평화지대화에 앞장선다.

연합뉴스

연천 태풍전망대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마지막 전략은 'DMZ 글로벌 홍보 마케팅 및 관광 활성화'로, 282억원 규모의 6개 과제를 추진하는 내용이 담겼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종합문화예술축제인 'Let's DMZ 평화예술제'를 계속해서 개최하고 정전 70주년 기념사업을 추진, DMZ의 가치와 평화의 중요성을 국내는 물론 해외까지 널리 홍보하는 데 힘쓸 방침이다.

DMZ를 생태평화의 새로운 상징으로 만들기 위한 초광역 관광벨트인 '한반도 생태평화벨트'를 조성해 DMZ를 명실상부 세계적 명소로 발돋움시킬 계획이다.

신준영 경기도 평화협력국장은 "유동적인 남북 관계, 연차별 사업 시행 등의 성격을 고려해 기존사업과 신규사업 간의 조화를 이루도록 한 것이 이번 종합계획의 핵심"이라며 "향후 5년간 철저하고 지속적인 관리로 더 안전하고 풍성한 DMZ를 만드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wyshi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