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중앙 오른쪽)과 로버트 랩슨 주한미국대사 대리(중앙 왼쪽)가 2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6G 전략회의` 에 참석해 한미 공동연구 MOU 체결을 마치고 기념촬영 하고 있는 모습. [사진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6G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 한국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공동연구협력(MOU) 체결 행사를 열었다. 2025년까지 총2000억원의 연구개발 예산을 투자하고, 6G 국제 표준논의, 석박사급 인재양성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민·관 합동 '6G 전략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전략회의에서는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활용해 양국 간 6G 분야 공동연구 등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로버트 랩슨 주한 미국 대사대리 참석하에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간 공동연구협력 MOU 체결식이 열렸다. 로버트 랩슨 대사대리는 "이번 MOU 체결로 차세대 이동통신기술 개발과 경제협력을 촉진할 것으로 낙관한다"며 "특히 5G 선도주자인 한국과 협력하게 돼 상호유익하고 긍정적인 결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진 회의에서는 '6G R&D 실행계획'과 6G 글로벌 표준 선도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과 로버트 랩슨 주한미국대사 대리가 2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호텔에서 열린`6G 전략회의` 에 참석해 한미 공동연구 MOU 체결을 마치고 기념촬영 하고 있는 모습. [사진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 사회에서는 6G의 상용화를 2028~2030년 사이로 예상하고 있는만큼 미리 원천기술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대 중점 분야 10대 전략 기술에 2025년까지 총 2000억원, 2021년 기준 총 179억원(12개 과제)을 투자할 계획이다. 2031년까지 총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도 추진한다 또 6G 국제표준화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석박사급 인재양성에도 나설 계획이다.
홍진배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연말에 6G 글로벌 포럼을 개최해 국제 표준화 논의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며 "4G때 많이 침체되고 해체된 네트워크 장비사업이 5G때 복원됐다면, 6G때는 업체들이 도약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5G 시대에 마땅히 사용한 앱이 적다는 지적이 있는만큼 6G는 기술개발·표준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 개발도 병행해 준비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는 김우준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 부사장, 박일평 LG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 등도 참석했다. 미국 넥스트 G 얼라이언스 의장사로 선정된 LG전자는 현재 5G에서 단말기는 철수했지만, 6G 투자에 앞장서고 있다. 6G가 단순히 휴대전화 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등 모든 산업에 들어가는 네트워크가 될 것이어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회사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표준화부터 테라헤르쯔 시험까지 굉장히 열심히하고 있고, 5G도 10년전부터 준비한것처럼 6G 본격 준비에 나선다는 계획을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향후에도 6G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기술·표준화, 위성·주파수, 글로벌의 3대 분과위원회로 민관 협력 활동을 이어나가고, 6G 연구개발을 차질 없이 이행해나갈 계획이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협력 기반이 잘 마련된 만큼 이를 잘 활용하여 6G 준비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협업을 추진하고, 향후 관계부처, 대·중소기업과도 긴밀히 협력하여 우리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디지털 강국의 위상을 더욱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승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