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보물 '구례 화엄사 삼신불좌상' 국보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유일한 삼신불 조각이자 독보적인 초대형 규모"

울진 불영사 불연 등 3건은 보물 지정

뉴스1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슬빈 기자 = 문화재청은 보물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불삼신불좌상'을 국보로 지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와 함께 '울진 불영사 불연'을 비롯해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송시열 초상' 3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국보 '구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불교 조각 중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모니불로 이루어진 '삼신불'(三身佛)로 구성된 유일한 작품으로 조선 시대 불교사상과 미술사 연구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아 왔다.

화엄사 대웅전에 봉안된 3구의 좌상은 1635년(인조 13년) 당대 유명한 조각승인 청헌과 응원, 인균을 비롯해 이들의 제자들이 만든 17세기의 대표적인 불교조각이다. 모두 3m가 넘는 초대형 불상이라 보는 이로 하여금 앞도적인 느낌을 준다.

특히, 삼신불의 복장유물 등 관련 기록이 최근 발견됐으며, 이 기록을 통해 임진왜란 때 소실된 화엄사를 재건하면서(1630∼1636), 대웅전에 봉안하기 위해 삼신불을 제작한 시기(1634∼1635년)와 과정, 후원자, 참여자들의 실체가 더욱 명확하게 밝혀졌다.

발원문에 의하면 전국 승려집단의 대표라 할 수 있는 '팔도도총섭'을 역임한 벽암 각성(1575∼1660)의 주관 아래, 선조(재위 1567∼1608)의 여덟 번째 아들 의창군 이광(1589∼1645) 부부와 선조의 사위 동양위 신익성(1588∼1644) 부부 등 다수의 왕실 인물과 승려 580여 명을 포함한 총 1320명이 시주자로 참여했다.

뉴스1

구례 화엄사 노사나불좌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신불좌상은 화려한 연꽃을 갖춘 대좌(부처의 앉는 자리)와 팔각형 목조대좌에 다리를 서로 꼰 결가부좌 자세로 앉아 있다. 거대한 규모와 더불어 단순하면서도 선이 굵게 처리된 조각솜씨로 인해 중후한 느낌을 더한다.

이 삼신불상은 당시 가장 유명했던 조각승 집단인 청헌파와 응원·인균파가 참여한 만큼 표현에서도 각 유파(流派)의 조각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근엄한 표정의 비로자나불과 석가모니상은 청헌파가 제작한 것으로 판단되는 반면, 부드러운 얼굴에 작은 눈과 두툼한 눈두덩이가 표현된 노사나불상은 응원과 인균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국보 화엄사 삼신불좌상은 17세기를 대표하는 조각승 청헌, 응원, 인균과 제자들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해 완성한 기념비적인 대작"이라며 "이는 불사를 주관한 벽암 각성, 의창군 이광 등 왕실의 후원이 합쳐진 결과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17세기 제작된 목조불상 중 크기가 가장 크고, 조각으로 유일하게 비로자나불-노사나불-석가여래불로 표현된 삼신불 도상이라는 점에서 불교조각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크고 중요하다"며 "그뿐만 아니라 예술·조형적 수준도 조선 후기 불상 중에서 단연 돋보이므로 국보로 지정해도 손색이 없다"고 평했다.

아울러 문화재청은 지금까지 알려진 약 20기의 조선 후기 불연(가마) 중 형태가 가장 온전하게 남은 '울진 불영사 불연'과 1656년(효종 7년)에 만들어진 불상인 '완주 송광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소조십육나한상 일괄', 조선 중기 성리학의 대가 송시열의 모습을 그린 18세기 초상화인 '송시열 초상'을 보물로 지정했다.

뉴스1

울진 불영사 불연. 문화재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eulb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