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외교 재관여, 美신뢰재건 진전”
“코로나 기원 규명 위해 中실험실 접근”
‘사이버 범죄자 인도’ 푸틴 제안에 “열려 있어”
[로이터]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홍성원 기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첫 대면 다자회의인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마친 뒤 ‘미국의 귀환’을 선언했다.
정상회의 공동성명에 중국을 공식 언급한 데 대해선 만족감을 표했다.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선진국의 기여 방안을 평가하면서 미국의 대대적인 추가 기부를 시사했다.
특히 중국에 대해 코로나19 기원 조사 협력을 압박하는 등 중국과 러시아를 겨냥해 민주주의 국가들이 독재국과 경쟁하고 있다는 시각을 드러냈다. 중국·러시아와 갈등을 추구하는 건 아니라는 점도 재차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3일(현지시간) G7 정상회의 폐막 직후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가장 깊이 있는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함께 세계를 이끌기 위해 테이블로 돌아왔다”며 “세계 외교에 완전히 다시 관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그는 이번 다자회의를 미국이 중국·러시아에 맞서 동맹을 결집하면서 “엄청나게 협력적이며 생산적인” 회의였다고 규정했다. 중·러를 겨냥해 민주주의 국가들이 독재국들과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가장 가까운 친구들과 우리의 가치 사이에서 미국의 신뢰 재건에 진전을 이뤘다”며 미국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를 갈취 대상이 아닌 미 안보에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다고 말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차별화를 꾀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특히 중국을 향해 인권과 투명성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과거 G7 정상회의 성명에는 중국 관련 문제가 안 담겼지만, 이날 공동성명에는 중국의 인권유린과 비시장 정책 등 많은 이슈가 담겼다면서 “여러분은 우리가 중국을 똑바로 다루는 것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이 인권과 투명성에 대한 국제 규범에 좀 더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한다”며 코로나19 기원 조사에 협조하라고 압박했다,
그는 “우린 코로나19를 일으키는 환경 속 동물과 접촉한 박쥐 시장에서 유발됐는지, 실험 실패에서 비롯됐는지를 판단할 실험실에 접근하지 못했다”며 “정보 당국이 아직 확신하지 못해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것에 대한 답을 아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난 중국과 갈등을 추구하지 않는다. 협력할 것에는 협력할 것이고, 동의하지 않는 것에는 솔직히 말하고 모순되는 행동에는 대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미·러 관계가 ‘저점’에 있다고 평가하고, 러시아의 사이버안보 침해, 미 대선 개입과 관련해 푸틴 대통령이 개입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푸틴의 미·러 간 사이버 범죄자 상호 인도 언급에 대해 “열려 있다”고 말해 관련 범죄자 상호 교환에 관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은 최근 콜로니얼 파이프라인과 정육회사 JBS 등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이 러시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책임 추궁을 강화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바이든의 언급과 관련, 미러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간 협력 분야에 대한 전망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바이든은 “우린 (러시아와) 갈등을 추구하지 않는다”라고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 세계 빈국들에 지속적인 백신 공급을 약속하면서 미국이 추가로 백신을 기부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미국이 다음 2년에 걸쳐 또 다른 10억 도스의 백신을 제공할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 미국은 애초 제공키로 한 8000만도스에 이어 내년 상반기까지 추가로 5억도스를 저소득국에 주기로 했는데, 이와 별개로 10억 도스의 백신을 내놓을 것임을 시사한 것이라고 워싱턴포스트(WP)는 전했다.
G7 정상들도 내년까지 백신 10억 도스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바이든은 “G7의 모든 정상은 이것이 끝이 아니라는 분명한 공감대가 있었다”며 “우리는 전 세계의 요구를 충족할 때까지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바이든 대통령은 내년까지 대유행이 종식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전 세계적으로 조금 더 걸릴 수도 있다”고 답했다.
hongi@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