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칠곡 송림사 대웅전 등 팔공산 주변 3개 불전, 보물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칠곡 송림사 대웅전 전경.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슬빈 기자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칠곡 송림사 대웅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인 '대구 동화사 극락전'과 '대구 동화사 수마제전' 등 3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고 25일 밝혔다.

송림사의 주불전인 칠곡 송림사 대웅전은 임진왜란의 전란을 겪은 후 1649년에 중수되었으며 이후 1755년, 1850년 두 차례의 중수를 거쳐 현재 모습으로 남아 있는 건물이다.

대웅전은 정면 5칸, 옆면 3칸 규모인데 17세기 이후 재건한 불전이 정면 3칸, 옆면 2칸을 채택했던 추세와 달리 이전의 규모를 지키고 있다.

평면 규모뿐 아니라 실내구성에서도 당대 흐름인 중앙에 대형 불단을 설치하고 후불벽을 두어 예불공간을 확장시키는 방식을 따르지 않고 옛 방식을 취하고 있다.

공포(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의 짜임은 비교적 시기가 올라가는 '교두형'으로 짰는데 이런 유형의 공포는 팔공산 일대 사찰 등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지역 특색이다.

교두형은 흔히 공포의 짜임에서 전면으로 길에 내민 활이나 날개모양의 살미형식이 아니고 끝을 각지게 깎아 낸 모양의 공포 형식이다.

송림사 대웅전은 17세기 중엽 중수된 이후 18세기 말, 19세기 중엽 두 차례의 중수를 거치면서 주칸의 크기를 재조정하고 외관이 달라지는 수준의 큰 변모가 일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팔공산 일대 사찰건축의 특징이 반영된 옛 부재를 최대한 재사용해 역사성을 잘 계승하고 있다.

뉴스1

대구 동화사 극락전.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구 동화사 극락전은 1600년(선조 33년)에 중건을 시작했고, 그 중 '금당'(사찰의 본당)을 제일 먼저 건립했는데 지금의 극락전으로 판단된다.

이후 문헌 기록을 통해 1622년에 중창되었음을 확인했다. 임진왜란 이후에 재건된 조선 후기 불전 중에서는 건립 시기가 빠른 편에 속하며, 처마와 창호, 단청 등에서 일제강점기 이후의 변화가 확인되지만, 전체적인 구조와 의장은 건립 당시의 상태를 잘 유지하고 있다.

또한, 통일신라 당시 창건 당시의 위치, 기단과 초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창건한 당시의 자리에, 당시의 기단과 초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부에 17세기 전반의 목조건축을 세워 현재까지 전하고 있다.

대구 동화사 수마제전은 극락전의 뒤쪽에 있으면서 고금당(古金堂)이라고 전한다. 1465년(세종 11년)에 건립되었고, 임진왜란 뒤 1702년(숙종 28년)에 중창됐다는 기록이 전하며, 현재의 건물도 17세기 이후의 기법과 옛 기법이 공존하고 있다.

수마제전은 사방 1칸 규모로, 다포식 공포를 가지며 맞배지붕으로 된 불전인데, 이처럼 사방 1칸의 다포계 맞배지붕 불전은 현재 국내에서 수마제전이 유일하다.

뉴스1

대구 동화사 수마제전 내부.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3건의 보물 지정 예고한 문화재는 17~18세기에 걸쳐 팔공산을 중심으로 영남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적 특성과 당시 이 일대에서 주로 활동했던 것 같은 계보의 기술자 집단에 의해 조영된 건축물"이라며 "역사, 학술적 조형 예술적 측면에서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해 보존할 만한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칠곡 송림사 대웅전', '대구 동화사 극락전', '대구 동화사 수마제전' 등 3건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seulb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