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정치권 보수 진영 통합

봉하로 간 여야 '저마다 다른 노무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권양숙 여사 등 참석자들이 23일 오전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엄수된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2주기 추도식에서 참배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2주기를 맞은 23일 여야 정치권에서는 각자 입장에 따라 ‘노무현 정신’이 소환됐다. 여권 대선후보들은 ‘사람사는 세상’ 구호를 말하며 ‘노무현 계승자’를 자처하는 한편, 노 전 대통령 죽음과 검찰을 연관시키며 “정치 검찰”을 비판했다. 야권은 노무현 정신을 “소통과 통합”으로 규정하며 여권의 “일방통행식 국정운영”을 비판했다.

송영길 대표 등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 전 대통령 서거 12주기 추도식에 참석했다.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와 정세균 전 국무총리,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이광재·김두관 민주당 의원 등 여권 대선주자들도 일제히 봉하마을을 찾았다. 지난 6일 노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이재명 경기지사는 이날은 방문하지 않았다.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를 앞두고 유력 대선주자들은 노 전 대통령의 핵심 구호 ‘사람사는 세상’과 연계해 자신의 ‘청사진’을 강조했다. 이 지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그 누구보다 인간적이었던 ‘사람 노무현’의 모습을 기억한다”며 “우리 모두의 과거이자 미래인 당신의 꿈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온 힘 다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반칙과 특권 없이도 승리할 수 있는 공정한 세상” 등을 강조했다. ‘공정’은 이 지사의 핵심 대선 브랜드다.

이낙연 전 대표도 SNS에서 “지금 우리는 ‘사람사는 세상’을 ‘나라다운 나라’로 이어가고 있다”며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로 발전시켜 가겠다”고 말했다.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는 이 전 대표의 대선 슬로건이다. 그러면서 기본권 강화와 불평등 완화, 연대와 상생, 지방 균형발전 등을 제시했다.

검찰을 비판하는 메시지도 잇따랐다. 노 전 대통령이 검찰 수사 과정에서 사망했다는 점을 환기시키며, 야권 유력 대선 주자인 윤석열 전 검찰총장까지 겨냥한 것이다. 정세균 전 총리는 SNS에 “당신을 정치적으로 타살한 세력이 반칙과 특권으로 발호하려 한다”며 “대한민국의 검찰공화국 전락을 내버려두지 않겠다”고 밝혔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봉하마을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치 검찰, 검찰 정치는 민주주의의 독초”라고 말했다.

여권 대선주자들의 ‘노무현 추도 메시지’는 각자의 현재 지지세를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여권 지지율 1·2위인 이 지사와 이 전 대표는 ‘미래 비전’을 제시한 반면, 정 전 총리 등은 선명한 발언으로 지지층 결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광재 민주당 의원은 이날 봉하마을에서 “노 대통령의 꿈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며 오는 27일 대선 출마선언을 예고했다.

국민의힘에서는 김기현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봉하마을을 찾았다. 보수정당의 당대표급 인사가 노 전 대통령 추도식에 참석한 것은 2016년 정진석 당시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이후 5년만이다. 김 권한대행은 추도식장에 입장하는 권양숙 여사에게 깊이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한 뒤 “가끔 찾아뵙겠다”는 말을 전했다.

다만 국민의힘은 ‘노무현 정신’을 거론하며 여권의 독주를 비판했다. 김 권한대행은 기자들과 만나 “통 큰 소통과 진영논리를 넘어선 통합의 정신이 아쉬운 요즘 시점”이라며 “노 전 대통령님이 남기신 그 뜻을 우리의 이정표로 삼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대선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은 SNS에 “노 전 대통령은 국가 이익을 위해서라면 지지자들의 비판을 무릅쓰고 진영을 뛰어넘는 용기를 보여줬다”며 “그분이 살아계셨다면 거짓과 위선이 판치는 현 정권의 모습에 크게 실망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광연·박용하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 김진숙을 만나다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프리미엄 유료 콘텐츠가 한 달간 무료~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