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김정호 경남도당위원장 "산업위기지역 연장해 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민규 기자(=경남)(cman9@hanmail.net)]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위원장(경남 김해乙 국회의원)이 대형조선사의 수주성과가 지역경제 곳곳 효과를 미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 이목을 집중시켰다.

14일 경남도청 소회의실에서 경남지역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 만료를 앞두고 추가연장을 정부에 건의하기 위해 도지사·시장·군수와 간담회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정호 위원장은 "조선산업은 우리 나라의 국가 기간산업으로서 세계를 선도하며 국가경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대표산업이다. 특히 경남은 사업체수의 37%, 종사자수의 48%, 생산액의 50%를 차지하는 조선산업의 중추지역이다"고 설명했다.

프레시안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경남도당 위원장.(경남 김해乙 국회의원) ⓒ프레시안(조민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2016년 이후 세계적인 발주량 감소와 중국과의 경쟁 격화, 최근 발생한 코로나19로 인한 해상무역 위축 등으로 인해 수주량 감소와 선가 하락 등의 문제로 경남의 조선산업은 물론 전·후방 산업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조선산업 위기극복을 위해 정부는 2018년 5월 29일 창원시 진해구·통영시·고성군·거제시를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했다"며 "노동자와 실직자에 대한 생계안정·재취업 지원·중소협력업체의 경영안정·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지원 등 산업혁신 기반 조성과 투자유치를 지원했다"고 밝혔다.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은 지역경제가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데 크게 일조했다는 뜻이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경남에서는 조선산업 위기극복을 위해 희망근로 지원사업을 통한 노동자· 실직자 생계안정·재취업 지원·LNG연료추진 핵심기술·벙커링산업 육성·스마트야드 기반구축·기자재 스마트화 기술지원·선박 수리,개조· 해양플랜트 유지보수·해체산업 육성 등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회복하고 대체산업 육성을 위해 자구 노력을 엄청 해왔다"고 밝혔다.

이에 김정호 위원장은 "340만 경남도민을 대표해 2021년 5월 28일 종료되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통영시·고성군·거제시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 연장해 달라"고 정부에 간곡히 요청했다.

경남지역 산업위기 벗어나기 위해서는 정부의 중단 없는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민규 기자(=경남)(cman9@hanmail.net)]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