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막오른 與 전당대회, '어대한' 기류 변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임경구 기자(hilltop@pressian.com)]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이 23일 당 대표 선거에 나란히 도전장을 던졌다. 이로써 7월 23일 열리는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앞서 출마의사를 밝힌 윤상현 의원과 함께 4파전 구도로 치러진다.

총선 패배에 따른 압도적인 여소야대 국회환경, 임기 중반에 접어든 윤석열 대통령과의 관계설정이 이번 전당대회의 기본 골격이다. 여론조사상 우위에 바탕한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 기류에 균열이 생길지도 관전포인트다.

한동훈 "2년간 어땠나? 뺄셈의 정치 돌이켜봐야"

한 전 위원장은 총선 이후 상황과 관련해 "국민의 요구에 묵묵부답, 오히려 퇴보하는 모습만을 보여드렸다"면서 "민심에 반응하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국민의힘을 만들기 위해 모든 것을 바치는 것으로 진짜 책임을 다하려 한다"고 했다.

총선 후 당정의 무기력한 행태를 비판하며 당권 경쟁자들의 총선 패배 책임론에 맞불을 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패배의 경험을 변화와 승리, 정권 재창출의 토양으로 삼겠다"며 "당정 관계를 수평적으로 재정립하고 실용적인 방향으로 쇄신하겠다"고 했다.

특히 "지난 2년간 9번이나 집권여당의 리더가 바뀌었다. 그 배경이나 과정이 무리하다고 의문을 갖고 비판하는 국민들이 많았다"고 사실상 대통령실을 비판했다. 그러면서 "당이 정부의 정책 방향 혹은 정무적인 결정에 대해 합리적인 비판이나 수정 제안을 해야 할 때, 그럴 엄두조차 못내는 상황들이 반복됐다"고 했다.

또한 "최근 2년간 우리당은 어땠냐"며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배제하고 낙인찍고 공격하거나 심지어 발붙일 공간을 허용하지 않는 뺄셈의 정치를 해오지는 않았는지 돌이켜봐야 한다"고 친윤계를 비판하기도 했다.

한 전 위원장은 "건강하고 수평적이며 실용적인 당정관계를 대다수 국민과 지지자, 당원들이 정말 바라고 있다"며 "제가 그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또한 "당이 정부와 충실히 협력하지만, 꼭 필요할 땐 합리적인 견제와 비판, 수정 제안을 하는 것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그는 "중도, 수도권, 청년 정치를 향한 확장 없이는 우리 당의 미래가 없다"면서 "한 발은 보수의 심장인 전통 지지층에 두고 한 발은 수도권과 청년을 향해 과감히 나가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원외 당대표로서의 한계를 지적하는 데 대해선 "우리는 어차피 108석 소수 정당이라 원내만으로 할 수 있는 건 제한 돼 있다"며 "168명의 훌륭한 원외 위원장들과 한데 뭉쳐서 가야한다"고 했다.

'한동훈 대세론'에 나경원·원희룡·윤상현 총공세

한 전 위원장의 정부 견제론과 달리 원희룡 전 장관은 출마 회견에서 "윤석열 정부의 성공"에 방점을 뒀다.

'친윤'으로 분류되는 원 전 장관은 "윤석열 정부가 성공해야 정권을 재창출할 수 있고, 무도한 세력에 맞서서 대한민국을 지켜낼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총선에서 인천 계양을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게 패한 원 전 장관은 "반성한다. 저와 당이 부족한 탓에 국민의 선택을 받지 못했다"며 "여당 선거인데 대통령을 설득하지 못했다. 책임지겠다. 윤석열 정부는 우리 모두 함께 만든 정부"라고 했다.

당정관계에 대해선 "저는 대통령과 신뢰가 있다. 당심과 민심을 대통령께 가감 없이 전달하겠다"며 "레드팀을 만들겠다. 레드팀이 취합한 생생한 민심을 직접 전달하겠다"고 했다.

원 전 장관은 대야 관계와 관련해선 "민주당은 의석수를 무기로 국회의 오랜 전통과 관행을 짓밟고 있다"며 "야당의 폭주를 정면돌파하겠다. 협치는 하되, 무릎 꿇지 않겠다"고 했다.

나경원 의원은 "국민의힘을 책임지지 않는 정치, 염치없는 정치, 미숙한 정치에 맡길 수 없다"고 했다. 총선 참패 두달 만에 당 대표에 출마한 한 전 위원장을 비판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그는 거듭 "총선 패배를 자초한 오판을 다시 반복할 수는 없다"며 "시행착오를 감당할 여유는 이제 없다"고 한 전 위원장을 겨냥했다.

나 의원은 이어 "저는 계파도 없고, 앙금도 없다"며 "줄 세우고, 줄 서는 정치를 타파하고 싶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진행되는 형국이 제2의 연판장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게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지난해 3월 당 대표 경선을 앞두고 친윤계 의원들이 나 의원의 불출마를 요구하는 연판장을 돌린 사태를 언급해 이번 경선에서도 특정 후보를 지원하는 친윤계의 표심몰이를 경계한 것이다.

그러면서 "당 대표는 묵묵히, 대권주자를 빛나게 해야 한다. 계파 없고, 사심 없는 제가 그 적임자"라고 했다. 그는 "2027 대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면서 "당 대표를 맡아 우리 정당을 제대로 바꾸고 2027 대선에서 반드시 이길 수 있는 정당의 기초를 만들겠다"고 했다.

지난 21일 출마 선언을 한 윤상현 의원은 총선 패배를 이끈 한 전 위원장과 원 전 장관을 비판하며 "보수 대혁명을 통해 이기는 정당, 민생 정당을 만들겠다"고 했다.

프레시안

▲국민의힘 당권 레이스가 4파전 구도로 짜여졌다. 왼쪽부터 이날 국회에서 출마선언을 한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과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 지난 21일 출마를 선언한 윤상현 의원, 그리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임경구 기자(hilltop@pressian.com)]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