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조선 왕릉에 숨겨진 이야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사람들은 살아서는 물론이고 죽어서도 좋은 자리로 가고 싶어 한다. 만약 자리가 좋지 않다면? 옮기는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임금의 무덤은 자리한 지 오래됐어도 흉한 일이 이어지면 옮기곤 했다. 혹은 정치적 갈등이나 후손 왕의 시기심 탓에 자리를 비워 줘야 했다. 임금의 무덤이 풍수지리로 볼 때 최고의 자리라고 보기 어려운 이유다. 저자 황용선은 그래서 “살아 있을 때 조선의 지존이었더라도 결국 죽은 자의 갈 곳은 산 자가 정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2009년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뒤 저자는 우리나라에 있는 조선 왕릉을 모두 돌아봤다. 직접 답사한 왕릉 40기와 연산군·광해군 묘, 그리고 북한에 있어 답사는 못했지만 자료에 따른 정종의 후릉까지 모두 43기의 묘에 대해 기록했다. 특히 조선 왕릉의 조성과 변천 과정을 일람표로 작성해 부록으로 첨부했다. 왕릉의 풍수적 이점을 정리한 데에서 나아가 그곳에 오기까지의 사연을 집요하게 추적했다.

왕릉에 얽힌 비사를 따라가다 보면, 아무 말 없이 그곳에 있는 왕릉, 지금은 관광지처럼 돼 버린 왕릉이 사실 많은 사연을 갈무리하고 있는 곳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