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현대트랜시스, 전기차용 디스커넥터기술 세계 최초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부터 양산…E-GMP 기반 아이오닉5에 탑재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현대트랜시스가 세계 최초로 '전기차용 4륜구동(AWD) 디스커넥터 시스템'을 개발, 지난달부터 양산에 들어갔다고 12일 밝혔다.

현대트랜시스의 전기차용 4륜구동(AWD) 디스커넥터 시스템 기술은 현대차그룹 전기자동차 전용 플랫폼 'E-GMP'에 적용되며, 아이오닉 5에 최초로 탑재됐다. 현대트랜시스는 이후 적용 차종을 지속해서 늘려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전기차 AWD용 디스커넥터 시스템은 전기차 감속기에 부착해 모터와 구동축을 주행상황에 따라 분리하거나 연결하는 장치다. AWD가 필요한 눈길이나 험로가 아니라 고속주행을 할 때는 보조 구동축의 연결을 끊어 2WD로 전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동력 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약 6%~ 8% 향상시켜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다. 또 탑재성이 용이하도록 상품성을 개선해 전기차의 공간활용도도 높일 수 있다.

기존에 내연기관용 AWD 디스커넥터 기술은 있었지만, 전기차용으로 개발한 것은 현대트랜시스가 세계 최초다.

현대트랜시스는 "전기차는 구동원이 달라 기존 내연기관 디스커넥터에서는 발생하지 않던 소음과 절환 충격 등이 발생하는 등 개발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며 "전기차용 감속기의 경우 내연기관 변속기에 비해 구조가 단순해 오히려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전기차 감속기 개발담당자는 "디스커넥터 시스템은 전기차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1회 충전 주행거리를 세계최고 수준으로 높이면서 동시에 차량 주행성능을 확보한 핵심 기술"이라며 "그간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당사만의 특화된 전기차 감속기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현대트랜시스는 기존의 내연기관 외에도 고속열차, 전차 등 다양한 모빌리티의 감속기를 연구하며 전문성을 쌓아왔다. NVH(소음·진동) 성능, 내구성이 우수한 전기차용 감속기도 독자 개발해 양산해 왔다.

☞공감언론 뉴시스 pjy@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