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낙연, 재보궐 패배 이후 첫 공식 언론 인터뷰..."삶 지켜드리는 일에 매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4.7 재보궐 선거 패배 이후 한 달 간의 숙고 이후 활동을 재개한다.

이 전 대표는 10일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4.7 재보궐 선거 패배 이유를 밝히고 이날 출범 예정인 씽크탱크 '연대와 공존'에서 펼칠 국가 비전을 설명했다.

4.7 재보궐 선거 패배 이후 이 전 대표는 "전국 여기저기 다녔다. 태풍과 산불을 겪었던 곳도 갔고 어딜가나 청년들 만나 말씀 많이 들었다"며 "사는게 어려워 정치에 마음쓸 겨를이 없었다는 청년에 말씀과 지방 청년들의 걱정, 서울로 가고 싶은데 내 방이라도 있을까하는 말이 신경쓰였다"고 말했다.

건강을 묻는 진행자에 질문에 이 전 대표는 故 정주영 회장은 '머리 나쁜 사람은 몸이 라도 좋아야 한다'고 했다며 재치 있게 답했다.

재보궐 선거 패배 이유에 대해 이 전 대표는 "부동산 포함한 삶의 문제로 국민들의 불만과 좌절이 누적됐다. 선거과정에서 표출될 수 있었는데 지난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운이 좋아 불만이 표출되기 어려웠다"며 "남북정상회담, 코로나 방역의 외부의 좋은 평가 등 국민들도 정부 여당에게 코로나 극복 위해 힘을 모아줬다. 이러한 기저질환이 드러나기 어려운 상황 이번에 LH사태라는 트리거가 촉발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 전 대표는 "많은 국민들이 삶을 불안해 한다. 지금은 불안의 시대다. 4차 산업혁명으로 노동과 소득이 불안해지고 변화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한 불안 암담함에서 '나라는 무엇인가' 삶을 지켜드려야 한다"고 밝혔다.

당내 강성 지지층의 문자 폭탄에 대해서 이 전 대표는 "의사 표현의 방법이고 존중받아야 한다. 절제를 잃지 않아야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열려 있어야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의 최장수 총리를 지낸 것에 대해서 이 전 대표는 "2년 7개월 13일 민주화 이후 최장수 총리였다. 그 책임이 저한테 있다고 생각하고, 부족한 것, 잘못한 것은 고치고 새롭게 할 책임이 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날 출범하는 이낙연 전 대표의 씽크탱크 '연대와 공존'에 대해서는 "국민 한 분 한 분이 삶은 불안해 하는 불안의 시대이다. 청년들은 국가의 의무를 묻고 있다. 그 일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의 씽크탱크 '연대와 공존'은 이날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를 주제로 열리는 첫 정책 심포지움에서 신 복지정책 구상을 밝힐 계획이다. 연대와 공생은 이 전 대표의 대선 정책 준비를 위한 싱크탱크로, 학계·전문가·전직 고위공직자 그룹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첫 정책 심포지움은 그간 싱크탱크가 논의해온 국가 및 경제 비전을 발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전 대표가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한달 가까이 민심 청취를 통해 느꼈던 자신의 생각도 전할 계획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