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

여의도·목동 등 오세훈式 재건축 시동…집값 자극 우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범아파트 종상향 50층 주상복합아파트 검토 중

목동·압구정도 연내 지구단위계획 수립 목표

"주택공급·집값안정 두마리 토끼 잡아야" 집값 자극 우려도

이데일리

사진은 서울 63아트 전망대에서 본 여의도 아파트 단지.(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하지나 강신우 기자] 서울시가 그동안 중단됐던 재건축 관련 행정절차를 전격 재개하면서 오세훈식 민간 주택 공급을 본격화했다. 주요 재건축 아파트 단지들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뒤 잇따라 지구단위계획안을 공개하고 주민 열람을 진행하는 등 속도전에 돌입한 것이다.

여의도·목동·압구정, 지구단위계획안 마련 중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여의도 시범아파트가 위치한 아파트지구 3지구를 준주거지역으로 종상향해 50층 이상 주상복합 건물을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서울시는 용적률 상향에 따른 공공기여 부분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존 통개발 계획은 철회하고 조만간 개별단지를 비롯한 여의도 아파트 지구단위계획안에 대한 주민열람을 진행할 예정”이라면서 “이후 기부채납 비율에 대해서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여의도 일대 재건축 아파트 대장주로 꼽히는 시범아파트는 지난 2017년 안전진단 D등급을 받아 재건축 사업을 확정했다. 이후 현재 최고 13층인 시범아파트는 지하 2층~지상 35층, 1996가구로 탈바꿈하겠다는 재건축 계획을 만들었지만 여의도 재건축 사업의 밑그림인 ‘여의도 마스터플랜’이 나오지 않으면서 2018년 이후 최근까지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서울시는 지난 23일 ‘아시아선수촌아파트 지구단위계획 지정 및 지구단위계획 결정(안)’을 공개하는 등 민간 재건축 사업 재개의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다음달 7일까지 주민의견 등을 듣고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아시아선수촌 아파트는 전용면적 99~178㎡ 총 1356가구 규모로, 잠실 재건축 아파트 최대어로 손꼽힌다. 2018년 예비안전진단을 통과했고 올해 3월 정밀안전진단 절차에 들어갔다.

현재 서울시는 목동과 압구정 아파트 지구 지구단위계획안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서울시 관계자는 “목동택지개발지구도 지구단위계획안을 준비 중이며 자치구에서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있다”면서 “이를 정리한 후 구청에서 결정을 요청하면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서울시 관계자는 “압구정 아파트 지구 지구단위계획의 경우 기존의 지구단위계획을 수정 보완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연내 수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전했다. 압구정 아파트지구의 경우 2016년 11월 지구단위계획 주민설명회를 마친 뒤 이듬해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 상정됐으나 보류됐다.

주민 기대감 커지지만…집값 상승 부담

서울시의 재건축 사업 가속화에 주민들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여의도 일대 재건축 아파트 추진위 관계자는 “수년간 재건축 사업이 멈춰 있으면서 주민들 생각도 변화한 것 같다”면서 “지금 추진해도 10년이 넘게 걸린다. 서둘러 재건축을 추진하자는 의견들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압구정 아파트 재건축 조합 관계자도 “서울시가 집값 상승을 우려한 탓에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수년째 미뤄왔다”며 “서울시가 마땅히 해야할 일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서울시 내부에서는 재건축 사업이 재개될 경우 집값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택 공급과 집값 안정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하는데 집값이 올라 난감한 부분이 있다”고 전했다.

서울시가 지난 21일 압구정, 여의도, 목동의 주요 재건축 단지와 성수전략정비구역 일대 4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배경도 투기 수요를 억제하고 가격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서울시는 ‘신속하지만 신중하게’ 주택정책기조 속에서 민간 주택공급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단기간에 가격 변동 요인을 완벽히 제어하면서 공급량을 확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서울시가 재건축을 추진하는 데에 집값 상승은 계속 걸림돌로 작용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토지거래허가제가 고육지책으로 나온 대책이지만 집값을 묶어 두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