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서울·부산시장 보궐 선거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 계속 추진"....행정 연속성 강조한 오세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월대복원도 추진"...소모적 논쟁 지양

파이낸셜뉴스

서울시가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사업 중단 논란에서 벗어나 계속 진행되게 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 오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광화문광장 조성 관련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사진=뉴시스화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중단이냐 추진이냐 기로에 놓였던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이 계속 추진으로 결론이 났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는 약 8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서쪽 편도 6차로의 도로를 모두 없애 광장으로 편입하고 주한 미국 대사관쪽 동쪽 도로를 7~9차로로 넓혀 양방향 차량 통행을 가능토록 하는 사업이다. 4·7 재보궐선거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은 부정적 입장을 피력하면서 사업 중단 여부에 관심이 집중됐다.

그러나 오 시장은 27일 서울시청에서 온·오프라인 브리핑을 열고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세금 낭비와 행정 뒤집기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서다. '전면 재검토안'도 내부 검토사안이지만 소모적 논쟁과 갈등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전임 시장의 정책을 계승하겠다는 오 시장의 이번 결정은 정파를 떠나 행정의 연속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일제강점기 당시 훼손됐던 월대(궁전 건물 앞에 놓는 넓은 단)를 복원하는 등 보완 조치는 추가 실시하겠다는 방침이다.

■중단시 복구비용에만 400억 소요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한 것은 투입과 복구에 투자되는 비용 때문이다. 이미 공사는 3분의 1 이상이 진행된 상태다.

오 시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시장 권한대행 기간인 지난해 11월 중순,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공사가 착공됐다. 이미 34% 공정이 진행됐고 250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다"며 "원상복구안의 경우 복구비용까지 최소 400억원의 매몰비용이 발생한다. 관련 기관과의 재논의 절차도 밟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문제점은 최소화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도 시민의 세금을 단 한 푼이라도 헛되이 사용하고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것, 바로 이것이 서울시장의 책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전면 중단할 경우 논쟁이 발생할 수 있는 점도 고려됐다.

전면 재검토안의 경우 장기간 광장 사용이 어려워 시민들의 불편이 크고 오히려 소모적 논쟁과 갈등이 증폭될 우려가 있는 만큼 현재 계획된 안을 바탕으로 하되 역사성과 완성도를 더 높여 광장사업을 조속히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오 시장의 구상이다.

행정의 연속성을 이어가는 행정철학이 중요하다는 오 시장의 의중이 반영된 결과라는게 서울시 주변의 시각이다.

그는 "시장이 바뀔 때마다 광장이 공사장이 되는 비합리적이고 소모적인 역사가 더 이상 반복돼선 안 된다"며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과 갈등보다는 이해와 협조를 통해 광화문광장이 거듭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강조했다.

월대 복원 추진 등 역사성에 초점
오 시장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사업을 계속 추진하면서도 △광장의 역사성 강화 △이순신장군 동상, 세종대왕 동상, 물길, 분수 등 광화문 광장 주요 공간들의 역사적 의미를 스토리 텔링으로 되살리기 △광장 주변과의 상생 전략을 추가적으로 고민하겠다고 했다.

특히 광장의 역사성을 강화하기 위해 '월대 복원'이 추진된다. 오 시장표 광화문광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오 시장은 "월대 복원은 역사성 회복을 위해 포기할 수 없는 과제"라며 "조선시대 왕과 백성이 소통하고 화합하던 상징적 공간의 복원으로, 역사적 의미가 남다르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당초 설계안이 일부 수정된다.

오 시장은 "월대를 복원하게 되면 광화문 앞이 약간 볼록한 형태로, 유선형으로 돌출된다"며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형태의 구조 변경만 하는 것으로 결론냈다. 율곡로 교통흐름에는 전혀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