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미술의 세계

1500년 전 백제 금동신발 첫 보물 지정…“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500년 전 백제시대 금동신발 2건이 삼국시대 금동신발 유물로는 처음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됐다.

문화재청은 전북 고창 봉덕리 1호분과 전남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백제 시대 금동신발 2건과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각각 한 쌍으로 출토된 금동신발은 모두 5세기에 제작됐으며, 삼국시대 고분 출토 금동신발 중 가장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보기 드문 사례”라고 설명했다.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우리나라 고대인의 상장례(喪葬禮) 문화를,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5∼6세기 금속공예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유물이다. 그간 삼국 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은 국보나 보물로 상당수 지정됐지만, 금동신발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동신발은 삼국 시대 유적에서만 발견되는 우리 고유의 고대 금속공예품 중 하나다. 비슷한 시기 중국 유적에서는 찾아보기 힘들고, 일본 고분에서 유사한 형태의 신발이 출토된 적이 있지만 이는 우리나라에서 전래된 것이다.

경향신문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 측면 모습.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09년 출토된 고창 봉덕리 1호분 출토 금동신발은 현재까지 백제 시대 고분에서 나온 약 19점의 금동신발 중 가장 완벽한 형태다. 전체적인 형태는 배 모양이다. 발목 깃을 갖췄고, 앞쪽은 뾰족하면서 약간 위로 들렸으며, 중간 바닥이 편평하고, 뒤쪽은 약간 좁아지면서 둥근 형태다. 투각(透刻)한 육각형 안에 용과 인면조신(人面鳥身, 사람얼굴에 새 몸통을 가진 상상의 동물), 쌍조문(雙鳥文, 두 마리 새 문양), 괴수(怪獸, 공상의 동물), 연꽃 등 각종 문양을 화려하게 장식했다. 신발 바닥에는 높이 1.7㎝의 뾰족한 못 18개를 규칙적으로 붙였고, 내부는 비단 재질의 직물을 발라 마감했다. 이 유물은 왕의 힘을 과시하고 지방 수장의 위신을 세워주기 위해 지방 유력 지배층에 내려준 위세품(威勢品)으로 추정된다.

2014년 발굴된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은 발등 부분에 부착된 용머리 장식이 현존 삼국시대 금동신발 중 유일한 사례여서 주목을 받았다. 최근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분석 결과, 신발의 주인이 40대 여성으로 추정된 바 있다.

형태와 제작기법, 문양 등은 고창 봉덕리 출토 금동신발과 유사하다. 얇은 금동판 4장으로 바닥판과 좌우 옆면판, 발목깃판을 만들어 작은 못으로 연결했고 문양을 투각해 세부를 선으로 묘사했다. 아울러 육각문, 용문, 인면조신, 괴수문, 연화문 등 고대인의 사후 세계관을 반영된 듯한 문양이 정교하고 세밀하게 표현돼 있다. 5세기 후반 제작되어 6세기 무령왕릉 출토 금동시발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단계를 보여주는 공예품으로, 5~6세기 백제의 사상과 미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경향신문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나주 정촌고분 출토 왼쪽 금동신발의 발등 장식.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2건의 금동신발은 국내 최초 원형 그대로 발굴된 유물이라는 점에서 고고학과 역사적으로 의미가 크다”면서 “같은 시기 중국이나 고구려, 신라의 미술품과 비교하여 문양의 기원과 변천, 상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고, 백제 공예문화의 독자성을 밝힐 수 있는 원천 유물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 또한 매우 높다”고 밝혔다.

아울러 함께 보물로 지정된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은 호남을 대표하는 고찰 백양사에서 300년 넘게 전래된 불교문화재다. 1994년 도난됐으나, 2006년 환수된 특별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본존 아미타불이 여러 제자에게 불교의 교리를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1775년(영조 51년) 백양사 극락전 아미타불상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조성한 불화다. 본존인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8대 보살과 6위의 제자, 사천왕, 2위의 팔부중(불법을 수호하는 8명의 신)을 배치했으며, 안정되고 짜임새 있는 구도, 간결한 필치와 중후한 색감, 원만한 인물 표현 등 수화승(역량이 가장 뛰어난 화승) 색민(嗇敏)의 화풍을 잘 반영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불화의 조성시기, 참여자 명단 등을 알려주는 발원문과 복장낭(불화를 조성한 뒤 불경 등 복장품을 넣는 주머니) 등 복장유물 6건도 온전하게 남아 있어 18세기 후반 불화 복장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경향신문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문규 기자 sobbell@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 나의 탄소발자국은 얼마?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