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불법성 브로커' LH 전직들, 신도시서 '눈속임' 보상 컨설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장영락 기자] LH 퇴직자들이 신도시 일대에서 보상 브로커 활동을 한 정황이 파악됐다. 이들은 LH 출신이라는 점을 이용해 땅 주인들을 상대로 보상 비법 등을 판매한 것으로 추정된다.

31일 JTBC는 신도시 일대에 나온 LH 퇴직자들의 영업용 문건을 확보해 이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보동 따르면 3기 신도시 보상 절차가 진행 중인 남양주 왕숙 일대에는 고물상이 몰려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LH 출신이라는 점을 내세워 영업을 하는 브로커들이 출몰하고 있다.

이들은 LH 시절 보상 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보상비를 최대화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대가로 수수료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영업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증언에 나선 한 고물상 운영 땅주인은 “전화 한두 번 받은 것 같다. 보상 더 받아드릴 테니 저희 회사에 하면 안 되겠느냐고 (연락이 왔다)”고 말했다.

LH 20년 근무 경력이 기재된 영업용 문건을 보면 “보상금을 최대한 많이 받으려면 철저히 사전준비를 해야 한다”, “모범답안지를 만들어 주겠다” 등의 내용이 들어가 있다.

브로커에 직접 연락을 해 확인하자 문건을 뿌린 이는 실제로 LH 직원 출신이었다. 이 직원은 “20년 근무하고 나왔다. 2008년부터 동탄신도시부터 컨설팅하고 있다”며 서스럼 없이 보상 브로커 노릇을 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 퇴직자는 20% 이상의 보상을 더 받을 수 있다면 500만원의 사례비를 요구한다. 그러나 법률상 변호사, 행정사 이외에 보상 대행은 불가능해 전직 직원의 브로커 활동은 불법 소지가 다분한다.

이들의 컨설팅 방법 역시 위법성이 크다. 고물상 쓰레기 위에 고물을 덮어 재활용품을 부풀리는 방식으로 보상비를 더 받을 수 있다고 제안하는 것이다.

이처럼 보상을 위한 감정평가를 속이기 위한 방식을 대놓고 제안하는 것은 위법성이 뚜렷해 수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