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동학개미들의 주식 열풍

동학개미 열풍에 규제겹쳐…은행 신탁 '썰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라임과 옵티머스 등 잇따른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로 투자 실적에 따라 수익을 돌려주는 금융사 신탁업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재테크 수단으로 인기를 끌었던 주가연계신탁(ELT)에 투자자들이 발길을 끊으면서 발생한 현상이다. 여기에 고위험 상품 관련 금융당국의 강력한 규제와 직접투자 열풍도 신탁업 위축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3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0년 신탁업 영업 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61개 신탁사가 벌어들인 총 신탁보수(수수료)는 1조9446억원으로 전년보다 16.3%(3786억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지난해 은행이 받은 신탁보수는 9263억원으로 전년(1조2832억원)보다 27.8%(3569억원) 줄었다. 보험사가 전년보다 20.3% 줄어든 185억원, 증권사가 15.7% 줄어든 1929억원을 번 것으로 조사됐다.

신탁보수가 줄어든 이유는 주로 판매하던 ELT 판매가 대폭 축소됐기 때문이다. 은행 ELT 보수가 전년보다 60.1%(3742억원), 증권이 73.5%(178억원)나 각각 줄었다. ELT란 증권사가 발행한 주가연계증권(ELS)을 신탁에 담은 상품이다. 계약기간 중 기초자산 가격이 정해진 조건 밑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수익이 난다. 은행들은 퇴직연금을 제외하고 전체 신탁 판매액의 10~20%를 ELT로 판매해 왔다.

은행들의 ELT 판매는 금융위원회 규제에 코로나19까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어려워졌다. 금융위는 2019년 국외 금리 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이후 은행권의 ELT 판매 총량 규제에 들어갔다. 은행은 2019년 11월 잔액 기준(약 40조원)에 맞춰 ELT를 판매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ELT를 팔고 싶어도 총량 규제로 팔 수가 없어 자연스럽게 줄어들었다"며 "여기에 코로나19까지 덮쳐 조기상환이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코로나19로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져 조기상환이 어려워지자 일부 은행들이 ELT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다.

'동학개미' 열풍에 투자자들이 직접투자를 선호하고, 금융사들은 고위험 상품 판매를 꺼리는 현상도 이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금리 인하에다 여러 금융사고를 거치면서 금융사들이 리스크 높은 상품 판매를 자제하고 있다"며 "고위험 상품일수록 수수료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보수가 줄어들었다"고 했다.

ELT가 크게 위축된 반면 연금과 부동산 신탁 규모는 늘어나면서 전체적으로 신탁 수탁액 규모는 커졌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신탁을 판매하는 금융사의 총 수탁액은 1302조3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7.1%(68조1000억원) 증가했다. 은행이 492조7000억원, 증권사가 244조3000억원으로 각각 전년 말보다 2.6%(12조3000억원), 4.9%(11조4000억원) 증가했다.

[이새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