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이슈 치료제 개발과 보건 기술

근육 뒤틀리는 '근긴장이상증', 뇌수술없이 약물로 치료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카이스트 김대수 교수팀, 세로토닌 억제 물질 찾아내

"뇌수술이나 보톡스 없이 약물로 치료 가능해져"

아시아경제

그림제공=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스트레스 등으로 의지와 무관하게 근육이 긴장돼 통증과 함께 몸이 뒤틀리는 ‘근긴장이상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규 약물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은(KAIST)은 생명과학과 김대수 교수 연구팀이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억제하는 물질을 성분으로 포함해 근긴장이상증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규 약물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근긴장이상증은 의지와 무관하게 근육의 긴장이 증가해 통증과 함께 몸의 일부 또는 전신이 뒤틀리는 세계 3대 운동 질환 중 하나다.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사회에서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2010년 2만8000여 명이던 환자가 2017년엔 3만5000여 명으로 약 25% 증가하는 등 날로 늘어나는 추세다.


근긴장이상증은 발병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고 효과적인 치료약물이 없었다. 유일한 치료 방법으로는 보톡스 주사 혹은 수술로 해당 근육을 긴장시키는 신경 신호를 차단하거나 뇌를 전기로 자극하는 뇌 심부 전기자극 수술(DBS)을 받는 것이다. 그러나 보톡스 주사의 경우는 국소적인 근긴장이상에 적용할 수 있어 부위가 넓을 때 적용이 어려우며 내성이 생기면 투여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수술도 일부 환자들에게만 적용 가능하며 뇌수술의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수술 없는 약물치료가 가능하다면 환자들의 증상 관리와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연구팀은 근긴장이상증 환자들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증상이 심해지는 것에 주목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전신에서 근긴장이상증을 나타내는 동물모델을 활용해 어떻게 스트레스가 근긴장이상증을 유발하는지를 연구했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로토닌 신경의 활성이 증가해 세로토닌 분비가 늘어나며 늘어난 세로토닌은 5HT2A 라는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해 근육을 긴장시킴을 밝혔다. 따라서 세로토닌 신경을 차단하거나 5HT2A 수용체를 억제하면 근긴장이상증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연구팀은 또한 5HT2A 수용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해 근긴장이상증 치료에 기반을 마련했다.


김대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근긴장이상증 치료제가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기를 바란다?라며 "근긴장이상증뿐 아니라 근육 통증 등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운동 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저널 4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편 KAIST는 이번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설립된 신약 개발 회사인 ㈜뉴로토브와 함께 근긴장이상증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 연구를 준비 중이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