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도난당했다 되찾은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보물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슬빈 기자 = 한 차례 도난당했다 되찾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인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가 보물이 된다.

25일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호남을 대표하는 고찰 백양사에서 300년 넘게 전래된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를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1호)는 1994년 9월 도난 됐으나, 2006년 9월 지금의 제자리로 환수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불화이다.

본존 아미타불이 여러 제자들에게 불교의 교리를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1775년(영조 51) 백양사 극락전 아미타불상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조성한 작품이다.

1775년 수화승 색민을 비롯해 계헌 등 총 11명의 화승들이 참여해 그린 작품으로, 승려 환월당 민숙이 외조모 유씨 부부와 부모 봉씨 부부가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며 주문 제작한 것이다. 승려가 이처럼 직접 '대시주자'(사주자의 대표이자 가장 많이 시주한 인물)로 나선 사례는 매우 드물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장황(표구의 한국식 고유 용어)은 일부 개장됐으나 전반적으로 제작 당시의 원형에 큰 손상 없이 전래되고 있다.

본존인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8대 보살과 6위의 제자, 사천왕, 2위의 팔부중을 배치한 간략한 화면구성, 본존의 두광(頭光)에서부터 제자상과 팔대보살 등 권속들을 따라가며 화면을 꽉 채운 원형구도가 안정감을 준다. 또한 2m가 넘는 긴 화면에 압도적으로 그려진 본존불, 날씬한 협시보살의 표현 등에서 장중함과 상승감을 동시에 느끼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색민이 그린 '구례 화엄사 삼신불도'(1757년)와 '해남 대흥사 괘불도'(1764년)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뉴스1

아미타여래설법도의 본존불. 문화재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색민이 그의 만년기에 그린 것이며, 색민과 함께 그림 제작에 참여한 계헌의 입장에서는 첫 수화승이 되어 그린 작품이다.

따라서 이 불화는 의겸에서 색민, 색민에서 다시 계헌으로 이어지는 조선 후기 의겸 화풍의 전수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작품으로, 한국불교회화사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안정되고 짜임새 있는 구성을 갖추었고 간결한 필치와 중후한 색감, 원만한 인물의 표현 등에서 시대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조선 후기 대표적 불화다.

불화의 조성시기, 참여자 명단 등을 알려주는 발원문과 복장낭(불화를 조성한 뒤 불경 등 복장품을 넣는 주머니) 등 복장유물 6건도 온전하게 잘 남아 있어 18세기 후반 불화 복장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지정 예고한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 및 복장유물'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seulb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