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조계 “언제든 일촉즉발”
신현수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이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계 드러낸 申 역할
검사장급 인사에서 패싱된 것에 반발해 사표를 냈던 신 수석을 문재인 대통령이 붙잡으면서 일부 법조인은 “박 장관이 상처를 입은 것”이란 해석을 내놨다. 그러나 “신 수석 역할은 이번 사의 파동을 통해 한계를 드러냈고, 이전과 같은 기능은 못 할 것”이란 전망도 만만치 않다. 지난 12월 문 대통령이 검찰 출신인 신 수석을 발탁한 것은, 추미애 전 장관의 무리한 ‘윤석열 찍어내기’가 검찰 조직 전체와의 갈등으로 증폭하면서 정권에 대한 부담으로 돌아오는 상황을 ‘정상화’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그러나 이후 검찰 인사에서 그런 기조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신 수석이 사의를 번복한 이후 검찰 내부는 “기대했는데 신 수석도 못 믿겠다”는 분위기다. 한 검사장은 “추 전 장관의 비정상적 인사가 회복되지 않은 것을 보면 정권은 윤 총장을 임기 끝까지 식물 총장으로 만들겠다는 생각인 것 같다”며 “그런 상황에서 신 수석이 할 역할은 없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다만 추 전 장관 때처럼 윤 총장을 대놓고 때리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한 법조인은 “때릴수록 윤 총장의 존재감이 커지는 ‘학습 효과’ 때문에 여권이 작년 ‘채널A 사건’과 같은 어설픈 공작을 벌이긴 어렵지 않겠나”라고 했다.
◇중수청·김학의·원전 변수
그럼에도 현 정부와 ‘윤석열 검찰’ 간 갈등의 뇌관은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는 평가다. 작년 말 범여권의 ‘친(親)조국 라인’ 의원들이 추진하던 중대범죄수사청(중수청)에 대해 당초 더불어민주당은 신중한 입장이었다. 그런데 최근 민주당 지도부는 비슷한 성격의 ‘수사청’(가칭)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부패·경제·공직자·선거·방위 산업·대형 참사 등 6대 범죄 수사권을 검찰에서 뺏어 수사청으로 넘기는 게 골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 검찰 내부에서는 “사법 체계의 해체” “부패 범죄 수사의 무력화” 등을 이유로 불만이 축적되는 상황이다. 검찰이 ‘껍데기'만 남게 된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속도 조절 요구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실제 내달 초 해당 법안을 상정해 6월까지 처리한다면 윤 총장이 전면에 나서 반발할 것이라고 점치는 검사들이 적지 않다. 윤 총장은 그간 ‘부패 척결이 검찰 본연의 임무’란 점을 자주 강조해 왔다.
아울러 이번 인사에서 수사팀이 유임된 ‘월성 원전 경제성 조작 사건’ ‘김학의 불법 출금 의혹 사건’ 수사도 변수다. 백운규 전 산업부 장관 영장 청구 등 원전 수사에 대해선 청와대가 민감하게 반응해 왔다. 백 전 장관 다음 수사는 ‘탈원전 사령탑’이었던 청와대로 향할 공산이 크다. ‘김학의 사건’ 역시 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과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 등 ‘조국·추미애 라인’ 인사들이 수사 대상이다.
◇임은정 “등산화 장만한 듯 든든”
22일 임은정 대검 감찰정책연구관은 “어렵사리 수사권을 부여받게 됐다”며 “등산화 한 켤레 장만한 듯 든든하다. 계속 가보겠다”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박범계 법무장관은 임 연구관을 그 자리에 유임시킨 상태에서 ‘서울중앙지검 검사 겸임’ 발령을 내 수사권을 쥐여줬다. 법무부가 대검 인사에 이런 식으로 관여하는 것은 전례를 찾기 어렵다고 한다.
임 연구관은 한명숙 전 총리 수사팀의 ‘위증교사’ 의혹 수사를 직접 해 관련 검사를 기소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7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이 무혐의 결론을 내렸지만 우리법연구회 판사 출신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이 임 연구관에게 재검토를 지시했다고 한다. 이 사안과 관련, 공소시효가 3월 22일이기 때문에 수사가 곧 가시화될 것이란 말이 나온다.
해당 의혹은 추 전 장관이 사건 배당을 놓고 검찰총장에 대한 지휘권을 발동한 건이기도 하다. 검찰 내부에선 “중앙지검 결론이 뒤집힐 것으로 보긴 어렵지만 양측의 감정을 폭발시킬 사안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르면 4월 출범 예정인 공수처가 윤석열 총장 관련 의혹을 ‘1호 사건’으로 선택하는지도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박국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