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이슈 치료제 개발과 보건 기술

정부, 내년 국산 코로나 백신 접종 목표…경구용·중증 치료제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지원 전략
올해 예산 2627억…전년比 20%↑
mRNA 백신 기술 확보·해외 치료제 수입 검토

조선비즈

지난 18일 오후 대구 동구 대구·경북간호사회 강당에서 거점 전담병원, 감염병 전담병원, 중증 환자 치료 병상, 생활치료센터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실습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국산 백신 접종 시점을 내년으로 잡고 국내 개발사들을 지원한다. 치료제의 경우 경증·중등증 환자 치료용 정맥 주사제인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 외에 투약이 편리한 경구용 치료제와 중증 치료제 확보에도 힘쓴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는 1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1년도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 지원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수입 등에 총 2627억원을 지원한다. 지난해보다 약 20% 증액됐다. 이 중 절반인 약 1300억원은 임상시험 지원에 쓰인다.

백신은 제넥신, SK바이오사이언스, 유바이오로직스, 셀리드, 진원생명과학 등 5개사가 개발 중이다. 정부는 내년 접종을 목표로 임상 진행 가능성 높은 품목을 선정해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미국 화이자와 모더나의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백신 기술도 확보하기 위해 ‘mRNA 백신 사업단’ 운영을 추진한다.

치료제는 40여개 기업이 개발에 뛰어들었다. 현재 카모스타트, 나파모스타트 등의 약물을 지원하고 있다.

전세계 개발 동향을 모니터링해 해외의 우수한 백신은 물론 치료제도 필요할 경우 전문가 자문을 거쳐 수입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카이스트(KAIST) 연구팀이 개발한 ‘이동형 음압병동’의 상용화도 앞당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가 협력해 실제 환자 대상으로 시범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코로나19 예방접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도 장기적으로 신종 감염병에 대비할 수 있는 자체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며 "국산 치료제 개발을 시작으로 1호 백신 개발을 위해 범정부적 역량을 함께 모으겠다"고 말했다.

최기영 과기부 장관도 "국내에서 기술이 충분히 성숙되지 않은 mRNA 백신, 전달체 백신 등 혁신적 기술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윤수 기자(kysm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