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윤슬빈 기자 = 인권활동가, 문화인류학자, 플라스틱 프리 활동가, 배달 노동자, 홈리스,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 영화감독, 작가, 영장류학자, 정치학자 등 10인이 서로 다른 자리에서 코로나19가 드러낸 한국사회의 사각지대를 짚는다.
인권운동가 미류는 갑자기 자가격리를 하게 되며 느꼈던 두려움을 털어놓고, 결국은 단절이 아닌 연결이 감염병을 막을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가장 취약한 곳에서 재난이 재생산된다고 지적한다.
문화인류학자 서보경은 언제 어떻게 바이러스에 노출될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확진자에 대한 분노와 스스로 낙인의 대상이 될지 모른다는 불안으로 이어지는 감정의 고리들을 파헤친다.
정치학자 채효정은 팬데믹 시기 여성에게 더욱 가혹하게 닥친 위기를 다각도로 살피면서 '돌봄이 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주장한다.
라이더유니온 위원장 박정훈은 팬데믹 시대 필수산업으로 떠오른 배달노동의 그림자를 짚는다. 해고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나 사업을 접은 자영업자들이 청년 산재 사망 1위를 기록한 배달업계로 모여드는 현실은 그 자체로 재난의 한 단면이다.
야생 영장류학자 김산하는 '마스크 아래의 민낯'에서 자연파괴를 일삼다가 코로나19와 같은 재앙이 비롯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 마스크에만 집착하는 작금의 사태를 꼬집는다. 위기일수록 절박하면서도 지혜로운 조치가 필요하다는 그의 조언을 가슴에 새길 때가 아닌가 한다.
이렇게 10명의 저자들은 재난 상황에서 좁아진 우리의 시선을 열어주며 마스크를 뚫고 세상에 드러난 불평등과 기후위기의 현실을 똑바로 응시하라고, 잔잔하지만 분명하게 이야기를 건넨다.
◇ 마스크가 답하지 못한 질문들 / 미류 외 9명 지음 / 창비 펴냄 / 1만5000원
seulbi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