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끝나지 않은 신분제의 유습 '갑질'

애플카 전략 노출에도…갑질은 계속된다? [TNA]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생관계 아닌 주문자-생산자 이원화

재정적 이익 위한 독점체제 고수 전략

“갑질 계약 얼마나 완화하느냐가 관건”

헤럴드경제

애플카 컨셉 이미지. [출처=Aristomenis Tsirba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정찬수 기자] ‘애플카 협업설’ 이후 향후 협력사에 대한 궁금증이 계속되는 가운데 애플의 갑질 논란이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독점력을 바탕으로 한 이윤 추구 방식과 기술에서 마케팅에 무게를 둔 폐쇄적인 정책이 근거로 지목된다.

애플과 현대차그룹의 협업설이 제기됐을 때 애플은 기존 완성차 업체의 양산 플랫폼을 활용하면서 핵심 디자인과 소프트웨어(S/W), 부품의 결정권을 가지려는 전략을 구사했다. 현대차그룹의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를 활용해 양산체계를 갖춰 가격·디자인 경쟁력을 가지겠다는 포부도 엿보였다.

업계는 완성차 업계가 보유한 부품 모듈화가 애플에 매력적인 부분이었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하지만 미국 현지 생산을 고집하면서 모든 운영권을 갖길 원한 점이 ‘갑질’로 비쳤다. 일각에서 기아차가 중국 폭스콘처럼 생산 업체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때문에 향후 애플의 협력사 역시 찍어내기식의 생산이 가능한 글로벌 완성차 업체가 될 가능성이 크다. 폭스바겐은 물론 GM 등 거대 기업이 물망에 오른다. 자율주행을 제외한 전기차 부문에선 현대차·기아가 여전히 조율을 거듭하고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하지만 애플은 고유한 생태계를 유지하는 노력을 계속할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의 예상대로 2025년 이후 애플카가 출시되더라도 독자적인 시장을 확대하기까지 생산 업체에 부족한 점의 보완을 요구하는 과정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헤럴드경제

팀 쿡 애플 CEO가 지난해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서 열린 애플 세계 개발자 컨퍼런스(WWDC)에서 연설하고 있다.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애플이 추구하는 방향은 공생 관계가 아닌 주문자와 생산자의 이원화다. 해외 월간 정보 매체인 비숍 리스트는 “애플의 움직임은 자신들의 재정적인 이익을 위해 퍼블리셔와 소비자에게 피해를 전가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반(反) 경쟁적인 행동을 은폐하고 자신들의 이득을 취하는 애플의 근본적인 정책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애플의 자율주행 전기차 진출 전략이 노출되었다는 점은 완성차 주문제작 업체들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이다. 이는 애플 이후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는 IT 기업들의 고민거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애플은 여전히 전기차 양산 경험을 보유한 업체를 대상으로 논의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 판매 거점의 생산능력과 공급체인 보유한 업체여야 자신들의 독점적인 지위를 발휘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양산에 들어갈 경우 원가 절감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플랫폼을 보유했느냐고 중요한 부분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애플 협업설의 주인공이 누가될지는 지켜봐야겠지만, 애플의 독점적이고 갑질적인 협의 내용을 얼마나 완화할지가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라며 “운신의 폭이 없는 ‘갑을’의 관계가 된다면 이를 응할 제작사가 얼마나 될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