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혼돈의 가상화폐

[굿모닝 증시]테슬라 '비트코인' 투자…국내 반도체주 영향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 8일(현지시간) 미국 증시가 추가 부양책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상승세로 마감했다. 특히 테슬라가 자사 제품의 비트코인 결제를 허용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반도체와 결제 시스템 관련 종목이 급등하는 등 테마장세가 펼쳐졌다. 국내 증시도 이같은 미국 시장의 영향으로 상승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추가 부양책에 대한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서상영 키움증권 애널리스트 = 테슬라가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현금 수익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로 15억 달러를 비트코인에 투자했다고 발표했다. 또 가까운 장래에 자사 제품에 대한 결제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수락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비트코인 투자의 손실 발생 위험 등 실적 변동성 확대 우려가 높아지면서 일부 헤지펀드들이 경고하는 등 논란이 확산되면서 비트코인이 한 때 4만4000달러를 넘기도 했다.


암호화폐 관련 종목도 강세를 보였다. 테슬라(1.31%)는 비트코인 투자 소식이 전해지면서 장중 상승했지만, 실적 변화 확대 우려로 상승분을 일부 반납했다. 결제 회사인 스퀘어(8.15%), 페이팔(4.72%)은 물론 NVIDIA(6.24%),AMD(4.06%), 쇼핑업체인 소피파이(4.45%), 채굴업체 올트 글로벌(9.23%), 라이엇 블록체인(40.25%)등 암호화폐 관련 종목들이 뛰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3.13% 상승 했다. 부양책에 대한 기대 확산으로 델타항공(+5.08%)등 항공 업종과 투자의견 상향된 엑손모빌(+4.30%) 등 에너지 업종도 강세를 나타났다. 반면, 알파벳(-0.21%), 페이스북(-0.57%), 아마존(-0.87%), 애플(+0.11%) 등 대형 기술주는 금리 상승 이후 매물이 출회 되자 하락했다.


한국 증시는 전날 애플카 관련 자동차 업종과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약세를 보였던 반도체 업종 영향으로 관련 기업들이 하락하며 1% 가까이 약세를 보였다. 장중에는 중국의 춘절 효과 기대 및 미국 추가 부양책 등을 기반으로 한 은행, 경기 민감주 등이 강세를 보이며 상승 전환하기도 했다. 전반적인 시장은 개별 업종의 변화로 차별화가 진행 된 점이 특징이었다. 미국 증시 또한

테슬라의 비트코인 구매 효과로 반도체 및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는 등 차별화가 진행된 만큼 한국 증시에서 반도체 관련주의 강세를 이끌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국채금리가 추가 부양책 기대 및 인플레 압력 확산으로 1 년내 최고치를 기록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비록 미국 국채금리가 하락 전환하기도 했으나, 경제 정상화에 대한 기대심리를 반영했다는 점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증시에 우호적이다. 특히 금융, 경기 민감주 및 수출 대형주의 강세 기대를 높인다. 이를 감안 한국 증시는 상승 출발 후 개별 기업들의 변화 및

옵션 만기일을 앞두고 외국인 선물 동향에 따라 변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김호정 유안타증권 애널리스트 = 미국의 고용시장은 부진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1월 ADP 민간고용은 17만7000명 증가하며 고용 개선 기대감을 높였지만, 노동부의 결과는 기대보다 부진했다. 1월 실업률은 6.3%로 전월비 -0.4%p 하락했으나, 경제활동참가율이 하락한 부분이 존재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용지표의 부진은 바이든 행정부의 1.9조 달러 규모의 경기 부양책 통과 기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경기부양책은 9월까지 주당 400달러의 추가 실업급여 지급 연장과 3월 만료 예정이던 팬데믹 긴급실업수당 (PEUC), 4월 만료 예정인 자영업 실업보조금 (PUA) 프로그램의 추가 연장이 포함됐다. 이같은 부양책에 대한 기대는 최소한 질병이 통제되기까지며, 그 사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충격에 대응한다는 취지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부양책으로 인한 매크로 측면의 질적 회복에 대한 과대한 기대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 관점에서 1조9000달러 규모의 부양책 통과로 재정적자는 더욱 커질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부양책 논의에 따른 금리 상승 속도 역시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지난해 5차례에 걸쳐 투입한 부양책의 규모는 3조4000억달러로, 이번 지난해 전체 부양책 규모의 절반 수준이다. 가계소득의 증가 효과는 펜데믹 이후 소득과 소비 반등을 이끌었던 경기부양법안(CARES Act)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로 일상적인 소비 생활이 쉽지 않은 가운데 , 추가 이전소득 지급은 자산 시장을 자극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향후 질적 회복이 동반되지 못한 상태에서 자산 시장이 과열 징후를 보이면 추가적 정책 추진과 시장참여자에게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지연진 기자 gy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