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갤럭시S21, 오늘 개통…공시지원금vs선택약정 '뭐가 저렴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전자 갤럭시S21이 15일부터 어제(21일)까지 7일간의 사전예약을 마치고 오늘(22일) 개통을 시작합니다.

통신사들은 전작 갤럭시S20 사전예약 때와 비교해 2배가량의 공시지원금을 책정하면서 고객 유치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요금제에서 공시지원금보다 통신요금을 선택약정 할인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오늘(22일)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3사는 갤럭시S21 공시지원금을 최대 50만 원으로 책정했습니다.

LG유플러스가 사전예약 시작일 요금제별로 26만8천∼50만 원의 지원금을 예고했고, 이보다 적은 공시지원금을 예고했던 KT, SK텔레콤이 뒤따라 공시지원금을 상향 조정했습니다.

KT는 요금제별로 26만2천∼50만 원을, SK텔레콤은 27만∼50만 원의 공시지원금을 정했습니다. 기존 예고 공시지원금은 KT가 10만∼24만 원, SK텔레콤이 8만7천∼17만 원이었습니다.

소비자가 통신사를 통해 제품을 사면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 할인 중 하나를 골라 가입할 수 있습니다. 공시지원금을 선택하면 스마트폰 가격에서 요금제별로 정해진 금액을 깎아주고, 선택약정 할인을 선택하면 매달 요금의 25%를 할인받습니다.

이통사별 요금제와 공시지원금에 따라 다르지만, 5G 요금제 자체가 비싸 선택약정 할인을 선택하는 것이 대부분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LG유플러스의 8만5천 원짜리 요금제에 가입하면서 출고가 99만9천900원인 갤럭시S21을 구매한다고 하면 공시지원금 50만 원, 추가지원금(공시지원금의 최대 15%)을 받아 57만5천 원의 할인을 받습니다. 실구매가가 42만4천 원이 됩니다.

공시지원금 대신 선택약정 할인을 받으면 매달 요금의 25%씩 24개월간 할인받는 금액이 51만 원으로, 공시지원금을 받아봐야 6만5천 원 더 저렴해집니다.

LG유플러스의 경우 9만5천 원 이하 요금제에 가입하면 공시지원금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고 9만5천 원 이상 요금제에서는 선택약정 할인을 받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추가지원금을 최대로 받는다는 전제가 충족돼야 합니다.

SK텔레콤과 KT는 전 구간에서 선택약정을 하는 게 유리합니다.

통신비 절약을 원하는 소비자라면 제조사나 유통사에서 자급제폰을 구매하고 알뜰폰 요금제로 가입할 수도 있습니다.

자급제폰을 구매하면 특정 요금제나 부가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특히 5G 요금제에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이통사 판매 모델과 달리 5G폰을 LTE 요금제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S21 사전 예약에서 자급제폰이 차지하는 비율이 작년 갤럭시S20 당시보다 3배가량 늘었습니다.

[디지털뉴스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