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초콜릿폰, 샤인폰, 프라다폰 등 피처폰 시장에서 한때 삼성전자 자리까지 위협했던 LG전자의 휴대폰이 5년 연속 적자 끝에 '매각'이라는 단어까지 나오게 됐다. 이 같은 영광을 뒤로하고 LG전자의 휴대폰 사업이 내리막길을 걷게 된 것은 '스마트폰'의 등장 때문이다.
2007년 애플 아이폰의 등장은 휴대폰 시장을 스마트폰 중심으로 재편했고 이런 흐름에도 LG전자는 피처폰 중심 사업을 고수했다. 옵티머스 시리즈로 뒤늦게 스마트폰에 뛰어들긴 했지만 시장은 쉽게 LG전자를 허락하지 않았다.
LG전자에게도 기회는 있었다. 2014년에 내놓은 G3가 1000만대 이상 팔린 것이다. 그러나 2015년 G4와 V10 등을 내놓으며 시장 확대에 나섰지만 기대만큼의 성과에 못미쳤다. 2016년에는 그동안 한번도 시도하지 않은 '모듈형' G5를 내놓으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지만 유격 등 품질 문제와 제품의 연속성에 대한 의문 등이 제기되면서 부진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내놓은 벨벳과 스위블폰 윙도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했다. 그러는 동안 중저가 시장에서는 중국 업체들이 치고 올라와 LG전자 스마트폰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결국 2015년 2분기 시작된 적자는 지난해 4분기까지 23분기나 이어졌고 누적적자는 5조원이나 됐다.
이런 과정에서 스마트폰 사업부는 끊임없이 매각설이 나왔으며 LG전자는 결국 매각을 포함한 사업구조조정을 20일 공식화했다.
매각될 경우 인수 주체나 규모 등 세부내용은 알려진 게 없다. 다만 LG전자는 이날 "모든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입장만 밝혔다.
업계에서는 만일 매각에 무게를 둘 경우에는 중국업체가 잠재적 인수 후보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미 중저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중국에서 세계 최초로 롤러블폰 상용화를 앞둔 LG전자의 기술력을 확보할 경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 LG전자 스마트폰 사업부를 인수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기업은 중국 밖에 없다는 시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 상황에서 그나마 인수 여력이 있는 기업은 중국 기업 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세계 스마트폰 시장이 이미 과포화 상태라서 매각이 쉽지 않을 것을 감안해 모바일 사업을 당장 매각하는 대신 축소 재편하는데 집중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미래성장동력 산업중 하나로 꼽히는 사물인터넷(IoT) 뿐 아니라 가전과 전장 등 다른 주력 산업에도 스마트폰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쇼 CES2021에서 공개한 롤러블도 연내 출시할 계획인 것도 이같은 관측에 무게가 실리는 부분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전체를 당장 매각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결국 사업 축소와 롤러블의 성과를 보고 향후 방향을 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boyondal@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