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콘텐츠산업, 작년 상반기 매출 1.9% 줄고 수출 4.8% 늘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영화·광고 위축…지식정보·게임·만화는 약진

연합뉴스

한산한 영화관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극장 관객도 다시 급감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27일 서울 시내 한 영화관의 모습. 2020.11.27 scape@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준억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지난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의 매출이 감소하고 수출 증가세도 둔화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14일 발간한 '2020년 상반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국내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57조3천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장르별 매출액 증감률을 보면 지식정보(12.1%)와 게임(11.9%), 만화(10.1%) 등 비대면 소비가 가능한 장르들은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영화(-54.2%), 광고(-18.7%). 애니메이션(-10.4%), 음악(-9.0%) 등 대면 소비 비중이 크거나 경기와 직결된 장르들은 큰 폭으로 줄었다.

연합뉴스

장르별 매출액 증감률



아울러 같은 산업 내에서도 업종에 따라 매출 증감에 차이를 보였다. 출판의 경우 오프라인 서점 방문객은 감소했지만, 온라인 구매가 늘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도서매출이 처음으로 역전됐다.

영화 역시 극장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0.6% 급감했지만, 제작배급업은 극장유통업 대비 매출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 수출액은 50억8천만 달러(약 5조6천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상반기 수출 증가율 6.4%보다 낮은 수치다.

연합뉴스

장르별 수출 증감률



수출 증가율 역시 만화(36.7%), 게임(10.0%), 지식정보(6.5%) 등 비대면 관련 장르들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게임은 36억8천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해 전체 콘텐츠산업 수출의 72.4%를 차지했으며 만화는 'K-웹툰'의 글로벌 진출 등에 따라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 보고서는 콘텐츠산업 11개 장르의 지난해 상반기 주요 동향을 분석했으며 사업체 2천500개사 대상 실태조사 결과와 131개 상장사 자료 분석을 통해 매출, 수출 등 주요 산업 규모를 추정했다.

justdust@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