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윤창원 기자/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6년 5개월의 와병 끝에 25일 별세했다.
정확한 사인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숙환인 급성 심근경색의 후유증으로 추정된다.
이 회장이 병상에 누운 것은 지난 2014년 5월 10일. 서울 한남동 자택에서 밤 9시쯤 늦은 저녁을 먹은 뒤 '속이 답답하고 소화가 안된다'며 2시간 동안 불편해 하다가 갑자기 쓰려졌다.
호흡도 끊어졌고 맥박도 거의 잡히지 않는 긴급상황이라 비서진들은 거리가 먼 수서동의 삼성서울병원 대신 자택에서 가까운 순천향대병원으로 이 회장을 급히 이송했다.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의 모습(사진=박종민 기자/자료사진)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병명은 '급성 심근경색'. 혈전이 심장으로 통하는 혈관을 막아 혈액공급이 차단되면서 심장조직이 죽는 병이다.
순천향대측에서는 이 회장의 호흡과 맥박을 살리는 응급처치에 주력했다. 심폐소생술로 호흡과 맥박이 돌아온 이 회장은 2시간 뒤인 새벽 1시쯤 삼성서울병원으로 옮겨져 막힌 혈관을 넓히는 '스텐트 시술'과 혈전을 녹이는 처치를 받았다.
쓰러진지 9일만에 이 회장은 일반병실로 옮겨졌다. 그러나 신체기능은 되돌아 왔지만 의식은 100% 되돌아 오지 않았다. 기계의 도움없이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있고 눈도 떴지만 사람을 알아보거나 소리나 자극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 '최소 의식상태'였다.
이런 상태로 이 회장은 6년 5개월간 삼성서울병원 20층의 접근이 제한된 VIP 병실에서 재활치료를 받아왔다. 휠체어를 타고 복도를 오가는 '운동치료'와 소리나 자극을 주는 '자극요법'이 대부분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별세한 2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장례식장에서 삼성병원 관계자들이 큐알 출입증 발행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사진=윤창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회장이 사실상 '무의식' 상태에 빠지면서 증권가를 중심으로 시도 때도 없이 '이건희 사망설'이 나돌았다. 삼성은 그때마다 '사실무근'임을 밝혔지만 장기간의 와병으로 이 회장의 재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시장에 지배적이었다.
이 회장의 와병 기간 삼성그룹도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었다. 2017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관련해 구속됐다. 이건희-이재용 부자가 동시에 부재하는 삼성그룹 초유의 사태가 터진 것. 여기에 그룹의 컨트롤타워였던 '미래전략실'도 해체됐다.
와병이 장기화되면서 이 회장이 갖고 있던 IOC 위원직도 그해에 내놨다. 당시 IOC는 "이 회장 가족으로부터 이 회장을 더 이상 IOC 위원으로 간주하지 말아달라는 요청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이 앞으로 대외활동을 할 수 없음을 이 회장 가족이 인정한 셈이었다.
2017년은 이 회장이 45세의 나이로 그룹 총수에 오른지 30주년이 되는 해였다. 하지만 기나긴 와병과 아들의 구속 등으로 이 회장 취임 30주년은 축하없이 넘어갔다.
하지만 이 회장의 부재에도 후계자인 이재용 부회장이 그룹에 연착륙했고 삼성그룹의 글로벌 위상도 한층 높아졌다.
'이건희의 시대'에서 '이재용의 시대'로 흐름이 완전히 바뀐 상황에서 이건희 회장의 별세는 '이재용표 삼성'으로 가는 또다른 변곡점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