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네이버클라우드 이어 ‘웍스’까지…국내는 네이버 브랜드로 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 친숙한 네이버 브랜드 활용…국외선 라인웍스 브랜드 유지
- 네이버 클라우드와 함께 기업거래(B2B) 사업 시너지 목표

[디지털데일리 이대호기자] 네이버가 국내는 전 국민에게 친숙한 '네이버'로 브랜드 통일 전략을 가져간다.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을 네이버클라우드로 바꾼 것에 이어 이번엔 라인웍스를 네이버웍스로 바꿨다.

19일 네이버(대표 한성숙)은 자회사 웍스모바일(대표 한규흥)은 협업 솔루션 라인웍스 브랜드를 한국에서 '네이버웍스'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라인'보다 친숙한 네이버 브랜드로 변경하고 본격적인 국내 기업거래(B2B) 시장 공략에 나서며 글로벌 브랜드와 경쟁할 계획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일본에서는 라인웍스 브랜드를 그대로 유지한다.

네이버웍스는 네이버클라우드의 글로벌 인프라를 활용하고 있다. 10년 전부터 네이버의 모든 글로벌 계열사가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국내의 웅진, 대웅제약, 일동제약, SK해운, MBC 등을 포함해 일본, 중국, 유럽, 미국의 글로벌의 10만여 고객사가 현재 네이버웍스를 사용 중이다.

웍스모바일은 2016년 초 모바일 중심의 협업 솔루션 라인웍스로 일본 B2B 시장에 먼저 진출해 2년 만에 일본 토종브랜드인 Chatwork(챗워크)와 글로벌 브랜드인 Slack Japan(슬랙 재팬)을 큰 격차로 따돌리며 업계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상반기에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업무용 메신저 (Lite 상품) 무상 지원, 스마트스토어 판매자를 비롯한 중소기업(SME) 대상의 무료(Free) 상품을 오픈하는 등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처해 왔다. 여기에 중소기업의 비대면 업무 대응을 위한 'K-비대면 바우처 사업' 공급 기업으로 선정돼 SME 지원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경성민 웍스모바일 서비스 총괄 이사는 "네이버웍스는 모바일앱 만으로 대부분의 업무가 가능하도록 제품 안정성과 쉬운 사용성에 주력한다. 메일, 메신저, 캘린더, 드라이브 등 많은 서비스를 클라우드 상에서 안전하게 제공하는 것은 글로벌 솔루션 대비 네이버 만의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디지털 혁신에 많은 투자를 할 수 없는 중소기업을 위해 곧 고품질 화상회의 및 협업 기능 업그레이드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