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비트코인 추가 상승 가능성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브리핑은 매일경제, 블록크래프터스, 고위드와 함께하는 디스트리트에서 제공하는 암호화폐 시황입니다.

안녕하세요.

2020년 10월 19일 디브리핑의 문호준입니다.

지난 한 주 동안의 암호화폐 주요 시황 살펴보겠습니다.

*2020년 10월 19일 오전 8시 기준입니다.

[비트코인]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300만원 돌파 및 정배열 전환으로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아진 비트코인은 주말 동안에도 1,300만원 부근에서 공방을 이어갔습니다. 하락보다는 상승 가능성이 더 높은 상황으로, 단기 박스권 상단인 1,330만원 부근 돌파 시 본격적인 상승추세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코인]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코인 중 주간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코인은 폴카닷(DOT)으로 전 주 대비 3.85% 상승했습니다. 반면, 리플(XRP)이 +0.5%로 가장 적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대부분 주간 큰 변동이 없었다는 의미입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알트코인 중에서는 이더리움(ETH)의 3배 레버리지 토큰인 ETH3L이 주간 304% 급등했다고 나오지만 이는 왜곡된 데이터로 후오비글로벌 거래소 상에서는 주간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이더리움 자체가 보합권 움직임을 보였기에 이를 추종하는 ETH3L도 큰 변화가 없어야 정상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결제 플랫폼인 ABBC코인이 76% 상승했으며, 신생 디파이 토큰인 씨볼트파이낸스(CORE)가 68% 오름폭을 보였습니다. 그 외로는 비너스(XVS), 리버스라이트(RSR), 앵커(ANKR), 웨이브즈(WAVES), 파일코인(FIL), 실리(SEELE), 스트리머(DATA) 등의 코인이 12%~45%대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상승 코인의 특별한 공통점은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

주간 하락 폭이 컸던 코인으로는 다빈치코인(DAC), 스토리지(STORJ), 네스트프로토콜(NEST), 크립토닷컴코인(CRO), 오케이비(OKB), 에이브(AAVE), 커브다오토큰(CRV), 와이에프밸류(YFV), 에어스왑(AST), 렌(REN)이 있으며 11%~28%대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강했던 코인들이 단기 조정을 받는 모습입니다.

[총정리]

비트코인이 다시 1,300만원 지지선을 깨고 하락 전환하기 전에는 상승에 대한 가능성을 보고 투자할 필요가 있으며, 투자 시 메이저 알트코인과 낙폭 과대 디파이 코인에 대한 균등 투자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이 오르면 바로 뒤에 메이저 알트코인이 오르기 때문이며, 디파이에 대한 시장 관심도가 떨어진 것이 아니니 유니스왑(UNI)이나 와이언파이낸스(YFI)와 같은 메이저 디파이 알트코인도 바닥권에서 반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것으로 2020년 10월 19일 디브리핑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호준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