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19일부터 경주 서봉총 재발굴 성과 공개
경주 서봉총 남분 출토 복어뼈 |
(서울=연합뉴스) 임동근 기자 = 1천500년 전 신라 왕족 제사음식에 돌고래, 남생이, 성게, 복어 등이 사용됐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진 경주 서봉총 유물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서봉총을 재발굴한 성과를 보여주는 테마전 '영원불멸의 성찬'을 오는 19일부터 내년 2월 28일까지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제사음식이 담겼던 것으로 추정되는 사각 합 |
서봉총은 경주 대릉원(사적 제512호) 일원에 있는 신라 왕족의 무덤 중 하나로 서기 500년 무렵 축조됐다. 먼저 만들어진 북분에 남분이 나란히 붙어 있는 쌍분이다.
무덤 이름은 당시 스웨덴(한자로 서전·瑞典) 황태자가 조사에 참여한 것과 봉황(鳳凰) 장식 금관이 출토된 것을 고려해 서봉총(瑞鳳塚)으로 붙여졌다.
1926년과 1929년에 북분과 남분이 각각 발굴됐는데, 당시 일제는 출토품을 정리하지 않고, 발굴 기록도 남기지 않았다. 이에 국립중앙박물관이 서봉총을 다시 발굴하고 최근 보고서를 발간했다.
서봉총 제사음식 |
이번 전시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1천500년 전 신라 왕족의 제사음식이다. 관람객은 무덤 둘레돌(호석·護石) 주변의 제사용 항아리에서 발견된 돌고래 뼈와 복어 뼈, 성게 유체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제사음식을 담았던 큰항아리와 내부에 있던 참굴 유체, 오늘날 찬합과도 같은 사각 합(盒)도 볼 수 있다.
전시에서는 서봉총 제사음식을 동영상으로 소개하고, 제사음식과 관련한 새로운 해석을 내놓으며, 출토된 동물의 종류 등을 그림과 도표로 자세히 설명한다.
서봉총 남분 출토 주름다슬기 |
국립중앙박물관 김대환 학예연구사는 "이번 재발굴에서 돌고래 뼈가 발견됐는데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나오는 '대어'(大魚·큰 물고기)가 바로 고래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어는 서해안에서 잡히는 물고기인데 남분 2호 큰 항아리에서 민어 뼈가 나온 것을 볼 때 신라 왕족 장례식에 백제에서 민어를 지참하고 조문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경주 이외 지방에서 사용하는 그릇이 발견돼 지방 조문객도 참석했을 것 같다"고 밝혔다.
테마전 포스터 |
재발굴 성과를 알기 쉽게 정리한 정보 패널도 설치된다. 이 패널을 통해서는 봉분 크기, 무덤 구조와 이름 등 일제 조사의 잘못을 바로잡은 것과 나무 기둥 가설물 구조, 상석, 무덤 둘레돌 주변에서의 제사 흔적 등 완전히 새롭게 발견한 것으로 구분해 소개한다.
일제강점기 서봉총 조사 책임자였던 고이즈미 아키오(小泉顯夫)가 서봉총에서 출토된 금관을 기생의 머리에 씌운 뒤 사진을 찍어 물의를 일으킨 사건과 스웨덴 황태자 관련 이야기도 들려준다.
dklim@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