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5일 오후 한국금융연구원은 ‘은행은 여전히 특별한가’라는 주제로 은행혁신 관련 세미나를 열었다. 이 자리엔 한동환 KB국민은행 부행장, 이형주 카카오뱅크 최고비즈니스책임자(CBO) 등 금융업계 관리자들이 나와 토론했다.
발언 첫 주자인 이형주 카카오뱅크 CBO는 “펀드·보험·증권 등 금융 상품은 증권사나 보험사에서도 살 수 있지만 은행에서 제일 잘 팔렸다”며 토론회의 포문을 열었다. 이 CBO는 “하지만 디지털 기술 발달로 산업 패러다임이 바뀌며 상품 제작자와 판매 채널로서의 기능이 분리됐고 오프라인 은행 지점의 장점인 고객 접점도 사라졌다”며 “이런 추세로 미루어 볼 때 은행이 망하진 않겠지만 기업 간 거래(B2B) 상품 공급자로 역할이 축소될 가능성은 있다”고 의견을 밝혔다.
그러면서 이 CBO는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플랫폼 회사가 선호하는 B2B 위주의 은행이 되거나 일반 고객이 선호하는 은행이 되는 것”이라며 “채널 역할을 하겠다면 극강의 편의성을 제공하거나 타 은행에는 없는 특별 상품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맥상 전통 은행이 지금처럼 판매 채널로서의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쇄신이 필요하며, 쇄신하지 못한다면 플랫폼 기업에 상품을 공급하는 하청업체에 그치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
‘완전 판매’ 전통 은행이 더 유리하다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 건물 전경.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두번째로 마이크를 잡은 한동환 KB국민은행 부행장은 이 CBO의 발언에 대해 “플랫폼에 종속된 은행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언급해서 제가 말씀을 좀 더 드려야겠다”며 단도직입적으로 운을 뗐다. 한 부행장은 “카카오뱅크의 혁신이 금융업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말씀하신 극강의 편리함이라는 것은 은행의 기능 중 일부일 뿐”이라고 받아쳤다. 그러면서 “서비스의 편리함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은행은 손으로 만지거나 눈으로 볼 수 없는 추상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정서적 완전 판매’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서적 완전 판매’는 최근 신한·하나·우리은행이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와 라임 불완전판매 같은 사모펀드 쓰나미에 휩쓸려 있는 상황에서 이를 유일하게 비껴갔다는 자부심을 내비치는 발언이다.
한 부행장은 이어 “무형의 지적 상품을 중개하는 일은 결국 사람 대 사람의 영역”이라며 “고객에게 상품을 전달하는 큐레이터로서의 역할, 형식적인 금융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고객 정서에 맞게 금융 상품을 판매하는 역할은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인터넷은행의 비대면 서비스로 충족될 수 없는 금융 수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면서 “KB의 목표는 금융 거래를 처리해주는 데서 나아가 고객의 금융 해결사, 금융 집사가 되는 것이고 사랑받는 금융 그룹뿐 아닌 금융 플랫폼이 되는 것”이라고 밝히며 빅테크 업체와의 플랫폼 경쟁에서 살아남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오프라인 기반 전통 은행과 신생 인터넷전문은행의 입장차가 뚜렷히 드러났다.
━
“빅테크 접근 어려운 도매 금융 차별화”
지난 10년간 일반 은행은 저성장 저금리 환경에서 인터넷전문은행과 핀테크 기업의 진출로 경쟁에 내몰리며 구조 변화를 겪었다.
주최 측인 한국금융연구원은 고자산가가 선호하는 오프라인 자산관리 서비스와 기업·무역 금융 등 특수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은행만이 디지털 전환에 따른 충격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박사는 “모든 소매금융 상품을 24시간 비대면으로 제공하고 PB 서비스에 근접한 맞춤형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 빅테크가 접근하기 어려운 외국환 서비스와 기업용 송금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제공하는 은행이 차별화에 성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