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드론으로 바라보는 세상

​[드론시장 명암] '떴다 떴다' 세계 드론시장...'뜨긴 뜨나' 한국 드론산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 시장은 4배 이상 커지는데...한국은 대기업-중견기업 참여 제한

지난 달 19일 세종시 호수공원 위로 드론 5대가 치킨과 햄버거 등을 나르는 ‘음식 배달’ 비행을 시작했다.

3대의 드론은 호수공원에서 2.5㎞가량 떨어진 세종시청을 출발해 금강을 건너 음식을 무사히 날랐다. 나머지 2대의 드론은 호수공원으로부터 1.5㎞ 거리에 있는 나성동 상업지구 고층빌딩 숲을 통과해 음식을 배달했다. 배달에 걸린 시간은 평균 10분을 넘지 않았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드론을 이용한 비대면 배송 사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실증 행사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실제 도심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안전한 중·장거리 드론 배달 서비스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음식을 비롯해 의약품, 산간 도서지방 택배 배송 등 국내 산업 전반에서 드론을 활용한 서비스가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업계 곳곳에서는 여전히 여러 규제에 묶여 드론이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는 여건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정부의 지원책이 중국이나 미국 등에 비해 현저히 부족해 업계가 각개전투식으로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드론 개발 업체들은 선진국에 비해 영세한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상황. 그로 인해 세계 드론 특허 중 한국의 비중은 7%에 불과해 경쟁력도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아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최근 발표한 드론 시장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16년 56억 달러였던 세계 드론시장 규모는 2025년 239억 달러(27조8000억원)로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한국의 드론 산업은 초기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경쟁력이 약해 국내 시장 조차 수입업체 드론에 내어주고 있다.실제로 지난해 8월 말까지 지방항공청에 등록된 12kg 이상 대형 드론 1만21대 중 국내산 제품이 10% 미만인 상황이다.

무엇보다 드론운영 관련 정부 육성책이 중소기업 보호 수준에 멈춰있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이 큰 한계로 지적된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7년 공공조달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에 드론을 지정한 것이다.

전경련은 도전적인 수요를 창출해야 할 공공분야 사업 주체를 중소기업으로 한정해 중견기업과 대기업의 참여를 제한한 것은 패착이란 지적이다. 시장 규모는 커지는데 한국의 드론산업이 과거 LED와 같은 실패를 반복할 수 있다는 경고다.

앞서 국산 LED 시장은 2010년대 초에는 국내 대기업이 참여했지만 2011년 중기적합업종으로 선정되면서 철수했다. 이후 필립스, 오스람 등 외국산의 국내 점유율이 높아지고 중국 업체의 저가 공세로 국내시장을 외국기업에 내주고 말았다.이후 2015년 중기적합업종 대상에서도 제외됐지만, 국산 점유율은 회복하지 못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국내용 보호정책보다 세계시장에서 살아남을 ‘실력’에 지원해야 한다"며 "한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이미 경쟁력을 확보한 기술력을 드론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 중심으로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석유선 기자 stone@ajunews.com

석유선 stone@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