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사는 지난 26일 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최근 코로나19 (확산) 이후 자해, 우울증, 자살 신고가 증가했다는 기사에 내내 마음이 쓰인다”면서 이같이 적었다.
그는 “누구도 홧김에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지 않는다. 벼랑 끝에 서 있다고 느낄 때, 이 세상 누구도 내 마음 알아주는 이 없다고 느낄 때 극단적인 생각이 차오르게 된다”며 “그러니 제가 무어라고 함부로 말 보탤 수 있을까. ‘코로나 블루’라는 단어 한 줄에 담긴 말 못할 사연들은 또 얼마나 많을까”라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이어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 또한 어린 시절 ‘하지 말아야 할 선택’을 하기도 했다”며 “자랑할 일은 아니지만 숨길 일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13살부터 위장 취업한 공장에서의 사고로 장애를 갖게 되었고 가난의 늪은 끝 모르게 깊었다. 살아야 할 아무 이유도 찾지 못하던 사춘기 소년이었다”며 과거 일화를 소개했다.
이 지사는 “저를 살린 건 이웃 주민들이었다. 웬 어린놈이 수면제를 달라고 하니 동네 약국에서 소화제를 왕창 준 것이다. 엉뚱한 소화제를 가득 삼키고 어설프게 연탄불 피우던 40년 전 소년이 아직도 생생하다. 돌이켜보면 제가 우리 사회에게 진 가장 큰 빚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도 공장 보조로 일하던 10대 시절 프레스에 손목 뼈 일부가 잘려나갔고 성장하며 뼈가 자라지 않아 왼팔이 굽었다고 했다. 이후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하기 위해 동네 약국을 돌며 수면제를 모았는데, 알고 보니 약국의 약사가 소화제를 속여 팔았다고 말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지사는 이번 SNS 글에서 이러한 과거를 회상하며 “결국 우리를 살게 하는 건, 자주 서럽고 억울하고 앞날이 캄캄해 절망해도 스스로 목숨을 끊지 않게 하는 건 서로 향한 사소한 관심과 연대 아닐까. 제가 40년 전 받았던 것처럼”이라고 전했다.
또 “여기에는 함께 힘겨운 시대를 견디고 있다는 개인 간 연민의 마음뿐만 아니라, 나아가 한 사회가 마땅히 해야 할 공적 책무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더 많은 이들을 향하는 경제정책이나 복지정책이 그런 것들일 것이다. 그 벼랑 끝의 마음을 모르지 않기에 간곡히 말 건넨다”며 “우리 죽지 말고 살자”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스스로 목숨을 끊지 않아도 되는 세상 만들어보고자 몸부림쳐 볼 테니 한 번만 더 힘내 보자”면서 “더 많은 분이 삶이 괴로워 떠나시기 전에 이 지긋지긋한 가난도, 부조리한 세상도 함께 바꿔내고 싶다. 그러니 한 번만 더 힘을 내주시길 부탁 드린다”고 당부했다.
그는 경기도 24시간 전화 응급 심리상담 핫라인 번호를 남기며 “이런 말밖에 드리지 못해 송구하기도 하다. 더 부지런히 움직이겠다. 공복의 책임을 다하겠다”면서 글을 맺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