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정부, 온실가스 감축목표 정하고 기후위기 안전망 확충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향신문

기후위기비상행동 관계자들이 25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글로벌 기후 행동의 날’ 행동 기자회견을 한 뒤, 기후 재난 안전망 강화와 해외 석탄발전 투자 중단 등을 촉구하며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우철훈 선임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후활동가들이 25일 ‘글로벌 기후 행동의 날’을 맞아 정부가 기후위기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명확히 정하고, 기후위기에 더 취약한 사회 약자들을 위한 안전망을 확충하라는 것이다.

시민단체 ‘기후위기 비상행동’은 이날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대량의 화석연료를 태우고 이윤을 축적하면서 피해는 사회에 전가하는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계에 더 많은 비용과 책임을 부과해야 한다”며 “정부가 과감한 탈탄소 전환을 추구하면서 기후변화가 야기하는 위기의 불평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기후정의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기후위기 비상행동은 정부의 ‘그린뉴딜’에 분명한 방향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최대 온실가스 배출원인 석탄발전의 퇴출 목표가 없는 상황에서 석탄발전의 건설이 진행 중이며, 공공재원을 통한 투자와 금융지원마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로 ‘2030년까지 2010년 대비 50% 감축, 2050년 배출 제로’를 제시했다. 이들은 또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혁명 이전 시기보다 1.5℃ 이상 올라가선 안 된다’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합의를 법으로 명시할 것도 촉구했다. 전날 국회가 ‘기후위기 비상대응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데 대해서도 “청소년을 비롯한 많은 시민들의 절박한 행동과 외침이 있었기에 가능했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고 밝혔다.

기후위기가 특정 계층에게는 더 크게 느껴진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기후위기 비상행동은 “기후위기로 인해 모두가 영향을 받지만, 피해의 수준은 같지 않다”며 “정부는 빈곤층, 소농 등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지원과 피해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기후 행동의 날’은 전 세계 기후운동 단체들이 한날 한시에 행동에 나서는 날이다. 기후운동 단체들은 매년 유엔 총회가 열리는 기간 중 하루를 ‘기후 행동의 날’로 정해 목소리를 낸다.

조해람 기자 lennon@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