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中, 화웨이 제재 맞서 美 기업 시스코에 보복 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스코-中 국영통신업체 계약 이미 끊긴 상태

다만 '블랙리스트 공개' 두고 中 내부서 의견 엇갈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화웨이 제재에 맞서 중국이 이미 미국 기업 시스코를 향한 보복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상무부가 마련하고 있는 블랙리스트에 시스코가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이어 시스코와 중국의 국영통신업체들과의 계약이 이미 끊긴 상태라고 덧붙였다. 통신장비업체인 시스코는 세계 시장에서 화웨이의 경쟁 회사 중 한 곳으로 꼽힌다.

지난 19일 중국 상무부는 홈페이지에 ‘신뢰할 수 없는 기업·개인 명단 규정’을 공고하며 중국 정부가 이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작성해 규제를 가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외국 기업은 대(對)중국 수출입 활동 및 투자가 금지 또는 제한된다. 기업 임직원은 중국 입국이 제한되거나 비자 또는 체류 자격이 취소될 수 있어 기업 활동에 치명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현재 후춘화(胡春華) 부총리가 중국판 블랙리스트인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을 최종 검토 중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중국은 자국 기업들에 위약금을 물더라도 미국 기업과의 계약을 파기하라는 지침을 내려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중국은 상무부를 비롯해 반독점 기구인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에도 블랙리스트 후보들을 올리라고 지시하며 보복 조치 마련에 공을 들이고 있다.

다만 중국 내부에서도 블랙리스트 공개를 우려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21일 WSJ에 따르면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담당하는 류허(劉鶴) 부총리는 미국의 더 큰 보복을 부를 수 있다는 이유로 블랙리스트 공개를 미국 대선 이후로 미루자고 주장하고 있다. 제이컵 파커 미·중 무역 전국위원회(USCBC) 부회장은 중국의 블랙리스트에 대해 “안 그래도 피해를 보고 있는 중국 관련 미국 기업에 더 큰 충격을 주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곽윤아기자 ori@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