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 수수료 만큼의 소비자 혜택은 전무
-일부 음식점 경쟁업체보다 배달비 더 받아
-소비자 이탈에도 지자체 '공익'만 호소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수수료는 제로(0)인데 음식값은 왜 그대로죠?"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공공배달앱에 소비자들이 '뿔'이 났다. 가맹업체 수수료를 대폭 낮춘데 반해 소비자 혜택은 전무하다는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공공배달앱의 혜택이 없다보니 소비자들은 기존 배달앱으로만 여전히 몰리고 있다. 그럼에도 각 지자체는 ‘공익’만 내세우며 공공배달앱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
현재까지 출시된 공공배달앱은 군산의 '배달의명수', 인천의 '배달서구', 서울시의 '제로배달 유니온'이다. 배달의명수와 배달서구의 가맹점 수수료는 0%다. 7개 스타트업이 조합형태로 참여한 제로배달 유니온의 경우 0~2%다. 10월 말에 출시 예정인 경기도 공공배달앱의 수수료는 2%다.
수수료가 낮은 만큼 음식가격 할인 등 소비자 혜택도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현재 공공배달앱에서는 기존 배달앱과 비교해 혜택이 전무하다.
오히려 일부 가맹점들은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경쟁업체에 비해 더 많은 배달비를 요구하기도 했다. 한 음식점은 배달의민족에서는 배달비 2000원을 받고 있었지만, 공공배달앱에서는 같은 거리임에도 3000원을 받고 있었다.
배달음식 자료사진=메이벅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많은 이용자가 공공배달앱에 등을 돌리고 있다. 배달의명수의 경우 월간 활성 이용자(MAU·안드로이드 기준)가 지난 4월 6만 8000명에서 매월 감소해 8월 2만 6000명으로 줄었다.
그럼에도 공공배달앱을 내놓은 각 지자체들은 소상공인을 살린다는 공익만을 내세우고 있다. 지자체 관계자는 "공공배달앱이 등장한 배경 자체가 지나치게 높은 수수료로 고통받는 자영업자를 지원하기 위함"이라며 "많은 시민이 그런 목적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공공배달앱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지자체상품권을 액면가 대비 최대 10% 싸게 구입할 수 있는 만큼, 할인 혜택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시민의 세금으로 10% 할인금액을 주는 지자체상품권은 '조삼모사'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123@heraldcorp.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