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최악의 위기 맞은 자영업

거리두기 2.5단계에…편의점 매출, 즉석조리식품 늘고 컵라면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에서 즉석조리식품의 심야 취식 금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포장 구매가 늘며 매출이 껑충 뛰었다.

CU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격상된 최근 일주일(8월 30일~9월 5일) 22시~02시 심야 시간대 주요 상품의 매출을 분석한 결과 조각치킨 등 즉석조리식품의 매출이 전월 대비 37.2% 오르며 전체 상품 중 가장 높은 신장률을 나타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및 수도권의 즉석조리식품 매출신장률이 38.2%로 지방의 31.6% 보다 소폭 더 높게 나타났다.

방역 당국이 서울 및 수도권 편의점에서 21시~05시 점내외 취식을 금지한 가운데, 해당 상품의 매출이 이렇게 크게 증가한 이유는 심야에 주점, 음식점 등이 문을 닫자 편의점에서 먹거리를 구매해 집에서 먹는 수요가 부쩍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즉석조리식품은 평소에도 점내 취식 보다 포장 구매하는 고객들이 대부분인데다 특히 최근엔 편의점의 24시간 배달서비스를 통해 대면 접촉 없이 쉽게 구매할 수 있어 심야의 대체 구매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간단한 야식 메뉴들의 인기도 높았다. 조리면(파스타, 콩국수, 볶음면 등) 36.9%, 냉장간편식(피자, 떡볶이, 수제비 등) 29.6%, 죽〃스프류 28.2%, 냉동만두 26.9% 등 밥이 들어간 식사류보다 비교적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즉석식들이 평소보다 더 많이 팔렸다.

과자류에서는 팝콘이 24.9%로 가장 높은 신장률을 보였으며 쿠키류 19.1%, 일반스낵 16.6%, 젤리류 10.9% 매출이 증가했다. 외출을 자제하고 극장 대신 넷플릭스 등을 시청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심야에 수요가 급증하는 주류는 양주 22.2%, 소주 14.9%, 와인 14.2%, 맥주 9.5%의 순으로 높은 매출신장률을 기록했고 이와 함께 동반구매율이 높은 냉장안주 29.0%, 육가공류 21.7%, 마른안주류 19.7% 매출이 상승했다.

반면, 심야 유동인구가 줄어들며 평소보다 매출이 감소한 상품들도 있다. 다른 상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내 취식의 비중이 높았던 컵라면은 11.7% 매출이 감소했고 꼬마김치도 덩달아 5.6% 줄었다. 음주 후 주로 마시는 숙취해소음료도 37.7% 매출이 떨어졌으며 아이스크림도 21.4%의 감소폭을 보였다.

정승욱 BGF리테일 MD기획팀장은 “강화된 방역 수칙에 따라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심야의 라이프스타일이 변하면서 편의점에서도 고객들의 구매 패턴이 달라지고 있다”며 “CU는 방역 당국에 적극 협조하는 동시에 2.5단계 기간 동안 심야 소비활동에 제약을 받는 고객들의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CU는 심야 야식을 많이 찾는 소비자들을 위해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9월 한 달 동안 최대 33% 알뜰 장보기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인기 메뉴를 하나로 묶은 '쌍쌍발 족발&닭발(6000원)' 등 이번주부터 차별화 상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이주현기자 jhjh13@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