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때아닌 4대강 공방

"4대강 아니었음 어쩔뻔" 野주장에 윤건영 "어처구니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록적 폭우 피해에 소환된 MB `4대강 사업`

정진석·홍준표 4대강 반대 지적에 "효과 없다" 판명

`남탓` 전에 위기 극복 동참이 우선

[이데일리 이성기 기자] 기록적인 폭우로 섬진강이 범람하는 등 전국 곳곳에서 피해가 속출하면서 MB정부 시절 추진된 4대강(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 사업이 다시 정치권의 도마에 올랐다.

야당은 섬진강에서 유독 큰 피해가 발생한 것을 두고 4대강 사업 부재 탓이라며 현 정부를 겨냥했다. 그러자 여당은 수해마저 정부 비방의 소재로 쓰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데일리

400mm 넘는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섬진강이 범람해 지난 8일 오후 전남 구례군 구례읍 도심이 침수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통합당은 `4대강이 없었으면 어쩔 뻔 했느냐` `MB(이명박)정부 때 섬진강도 (공사를) 했으면 물난리를 막았을 것`이라는 등 4대강 예찬론을 다시 끌고 와 정부 비방 소재로 썼다”며 “홍수와 가뭄을 예방한다면서 22조원의 막대한 예산을 썼지만, 2013년과 2018년 감사원 감사에서 홍수 예방사업이 아닌 한반도 대운하 재추진을 위한 사전 작업 성격이 크다는 결론이 났다”고 지적했다.

설 의원은 이어 “22조원의 예산으로 지류·지천을 정비했다면 홍수로 인한 인명·재산 피해를 상당히 줄였을 것”이라며 “낙동강 강둑이 터진 가장 큰 이유도 4대강 사업으로 건설한 보가 물 흐름을 방해해 수위가 높아지면서 강둑이 못 견디게 수압이 올라갔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정한다”고 강조했다.

난데없이 4대강 사업이 소환된 것은 일부 통합당 의원들이 이번 피해와 관련해 4대강 사업을 반대한 현 여권 탓을 했기 때문이다.

MB정권에서 정무수석을 지낸 정진석 통합당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4대강 사업이 없었으면 이번에 어쩔 뻔 했느냐 얘기를 많이 듣는다”며 “문재인 정부는 지금 이 순간까지도 4대강 보를 때려 부수겠다고 기세가 등등하다. 참으로 기가 막히고 억장이 무너진다”고 했다.

홍준표 무소속 의원도 “MB 시절 지류·지천 정비를 하지 못하게 그렇게도 막더니, 이번 폭우 피해가 4대강 유역이 아닌 지류·지천에 집중돼 있다는 사실을 그대들은 이제 실감하는가”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으로 통하는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이런 주장에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고 비판했다.

윤 의원은 페이스북에 “4대강 사업의 폐해는 이미 온갖 자료와 연구로 증명됐다. 이런 식으로 한다고 해서 당신들의 과오가 용서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야당을 향해서는 `남 탓`이 아닌 위기 극복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윤 의원은 “앞에서 열심히 전투에 임하고 있는데 뒤에서 발목 잡는 형국”이라면서 “국정을 운영해 본 정당이라면, 이럴 때일수록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하고자 해야 한다. 지금은 위기 극복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